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내용 및 방법 / 4
가. 연구내용 / 4
나. 연구방법 / 6
다. 연구의 활용과 제한점 / 6
3. 성평등지표 개발 동향 / 8
가. 국제성평등지표 / 8
나. 국내성평등지표 / 13
Ⅱ. 국정과제의 성평등 성과 평가를 위한 점검지표 개발 / 21
1. 성평등 점검 대상 정책과 기준 / 23
가. 성평등 점검 대상정책 / 23
나. 점검지표 선정 기준과 선정(안) / 26
2. 일자리에서의 성격차 개선을 위한 점검지표 / 32
가. 국정과제에서의 일자리 과제와 성격차 해소 정책 / 32
나. 일자리에서의 성격차 개선을 위한 점검지표 / 33
다. 일자리에서의 성격차 개선관련 법제도 등 인프라 구축 / 48
3. 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 및 폭력 해소를 위한 점검지표 / 54
가. 국정과제에서의 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 및 폭력 해소 정책 / 54
나. 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 및 폭력 해소를 위한 점검지표 / 55
다. 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 및 폭력 해소관련 법제도 등 인프라 구축 / 75
4. 가족생활에서의 성불평등 개선을 위한 점검지표 / 79
가. 국정과제에서의 가족생활에서의 성불평등 해소 과제 / 79
나. 가족생활에서의 성불평등 해소를 위한 점검지표 / 80
다. 가족생활에서의 성불평등 해소관련 법제도 등 인프라 구축 / 89
Ⅲ. 영역별 성평등 수준 점검지표 현황과 생산방안 / 95
1. 일자리에서의 성격차 현황 / 97
가. 대표지표 / 97
나. 보조지표 / 108
2. 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 및 폭력 현황 / 123
가. 대표지표 / 123
나. 보조지표 / 131
3. 가족생활에서의 성불평등 현황 / 152
가. 대표지표 /152
나. 보조지표 / 159
4. 미생산 점검지표의 생산방안 / 167
가. 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 및 폭력 해소 / 167
나. 가족생활에서의 성불평등성 개선 /168
Ⅳ. 요약 및 정책제언 / 173
1. 분석결과 요약 / 175
가. 성평등 점검 지표 선정 / 175
나. 점검지표 분석 결과 / 177
2. 미생산 통계의 생산방안 / 180
3. 점검지표 관리방안 / 182
참고문헌 / 187
부 록 / 189
[부록 1] 국가 성평등 점검지표의 필요성 및 자료원 정리 / 191
[부록 2] 국가 성평등 수준 점검지표와 성평등지수와의 지표 매칭 /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