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분야의 여성근로자 인적자원개발 현황 및 개선방안

$15.12
SKU
978898491870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12/31
Pages/Weight/Size 175*250*20mm
ISBN 9788984918702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Contents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내용 및 방법 / 4


Ⅱ. 이론적 논의 및 연구분석틀 / 9
1. 사회적경제 정의 및 유형 / 11
가. 사회적경제의 의의 / 11
나. 사회적경제의 현황과 유형 / 12
2. 사회적경제와 여성인력 활용의 필요성 / 17
가. 사회적경제를 위한 여성인력 활용의 중요성 / 17
나. 사회적 형평성과 여성인적자원 개발 / 19
3. 인적자원개발의 의의 및 구성요소 / 22
가. 개념 / 22
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SHRD)의 구성요소 / 24
4. 인적자원개발 성과 / 26
가. 개인적 성과 / 27
나. 조직적 성과 / 28
다. 사회적 성과 / 30
5. 선행연구 검토 / 32
가. 인력의 확보에 관한 연구 / 32
나. 활용 및 유지에 관한 연구 / 32
다. 인력 개발에 관한 연구 / 34
라. 보상에 관한 연구 / 35
6. 연구분석 틀 개발 / 36
가. 연구 범주의 설정 / 36
나. 분석 틀 개발 / 36


Ⅲ. 사회적경제 분야 고용 현황 및 특성 / 39
1. 미래 여성경제활동 분야 / 41
2. 여성고용과 사회적경제의 기여 / 47
3. 사회적경제 분야와 여성의 경제활동 / 49
가. 전국지역 사회적경제와 여성고용 / 49
나. 시군지역 사회적경제와 여성고용 / 55
4. 소결 / 62


Ⅳ. 사회적경제 분야 여성근로자 직업선택 및 경력개발 실태 / 65
1. 실태조사 조사개요 / 67
가. 조사목적 / 67
나. 표본의 선정과 자료수집 / 67
다. 설문조사 추진방법 / 68
라. 조사내용과 응답자 특성 표시 / 69
2. 사회적경제 분야 여성근로자 직업선택 및 경력개발 실태 / 71
가. 직업경험 / 71
나. 직업선택 / 85
다. 경력개발 / 103
라. 성과 / 119
마. 일·가족·여가 / 121
3. 사회적경제와 여성근로자 삶의 질(사회후생) / 132
4. 소결 / 144
가. 직업경험 / 144
나. 직업선택 / 144
다. 교육훈련 / 145
라. 성과 / 147
마. 일·가족·여가 / 147
바. 사회적 후생 / 148


Ⅴ. 사회적경제 분야 여성인적자원개발 현황과 문제점 검토 / 151
1. 심층조사 개요 / 153
2. 심층조사 결과 / 155
가. 중앙정부의 사회적경제 분야 HRD 기관 / 155
나. 지역 사회적경제 중간지원기관 / 159
다. 여성새로일하기센터 / 170
라. 여성인재아카데미 / 185
3. 소결 / 193


Ⅵ. 결론 및 개선방안 / 197
1. 결론 / 199
2. 개선방안 / 202
가. 여성인적자원의 사회적 경제활동을 위한 트로이카 법/제도 기반마련 / 202
나. 잠재적 여성사회적경제인 취업지원인프라 구축 / 209
다. 사회적경제 분야 여성관리자 역량개발 구축 / 215
라. 사회적경제 분야 사회적 인식개선 / 220


* 참고문헌 / 223

* 부 록 / 233
[부록 1] 사회적경제 분야 여성근로자 인적자원개발 실태조사 / 235
[부록 2] 새일센터 사회적경제 분야 여성근로자 인적자원개발 실태조사 / 254
[부록 3] 사회적경제 중간지원기관 인적자원개발 실태조사 / 258
[부록 4] 여성인재아카데미 사회적경제 분야 여성인적자원개발 실태조사 / 265
[부록 5] 직전 일자리 직종 분류 / 268
[부록 6] 직전 일자리 월평균 세후월급 / 269
[부록 7] 현재 일자리 근로시간, 고용형태, 근로계약 형태 / 270
[부록 8] 현재 일자리 월평균 세후월급 / 271

* Abstract / 273

Author
김복태,홍지현,김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