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빅데이터 정책의 여성가족 관련성 분석 / 19
1. 정부의 빅데이터 정책 동향 / 21
가. 범정부 빅데이터 정책 / 21
나. 주요부처의 빅데이터 활용계획 / 24
다. 정부 주도의 공공 빅데이터 활용 사 / 27
라. 공공부문 빅데이터 활용의 특징 / 34
2. 여성가족 빅데이터 연구 분야 / 36
가. 여성가족 빅데이터 연구 필요 분야 / 36
Ⅴ. 결론 및 정책제언 / 61
1. 결론 / 63
가. 여성가족 빅데이터의 정의와 범주 / 63
나. 정부의 빅데이터 정책의 여성가족 관련성 / 64
다. 해외의 여성가족 빅데이터 활용 전략 및 사례 / 66
2. 정책제언 / 67
가. 활용계획의 수립 / 67
나. 여성가족정책 빅데이터의 원천자료 선별과 표준화 / 68
다. 여성가족정책 빅데이터의 DB 구축 및 운영 / 68
라. 정부 빅데이터 사업에 대한 성인지적 개선과 활용 / 69
마. 여성가족 빅데이터 연구에 대한 정책지원 / 69
* 참고문헌 / 71
* 부 록 / 73
부록 1. 경제 영역 부문 빅데이터 사업: UN 빅데이터 글로벌 워킹 그룹(Big data global working group) / 75
부록 2. 비 경제 영역 부문 빅데이터 사업: UN 빅데이터 글로벌 워킹 그룹(Big data global working group) /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