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강화를 위한 정책과제(Ⅰ)

가정과 생활공간에서의 여성안전을 중심으로
$14.58
SKU
978898491828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12/31
Pages/Weight/Size 174*250*30mm
ISBN 9788984918283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Contents
1부
Ⅰ. 서 론 / 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5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5
나. 연구의 목적 / 9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 10
가. 연구내용 / 10
나. 연구방법 / 11


Ⅱ. 이론적 검토 및 국내외 정책 사례 분석 / 15
1. 생애주기별 여성안전과 안전교육에 대한 기존연구 / 17
가. 생애주기별 가정과 생활공간에서의 안전 / 17
나. 여성위험과 안전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 / 28
다. 해외의 여성안전정책 / 32
2. 일본의 생활안전정책 및 안전교육 현황 / 33
가. 일본의 남녀공동참획정책의 기본방향 이해 / 34
나. 일본의 생활안전 정책과 안전·안심마을만들기 현황 / 41
다. 일본의 안전교육 현황 / 54
라. 성인지적 관점에서 일본 안전정책 및 안전교육의 시사점 / 56
3. 국내의 안전정책 및 안전교육정책 / 59
가. 국민안전처의 안전정책 / 60
나. 안전교육관련 법률 및 안전교육정책 / 68
다. 소결: 안전정책과 안전교육정책의 개선방향 / 79
4. 생활체감형 여성안전지수 / 80
가. 기존 안전지수 검토 / 80
나. 여성안전지수 개발 / 83
다. 결론 및 제언 / 91


2부
Ⅰ. 안전교육콘텐츠 분석 / 97
1. 안전 분야별 안전교육의 현황 및 특성 / 99
2. 여성대상 안전교육의 현황 및 특성 / 111
3.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의 현황 및 특성 / 123


Ⅱ. 여성안전교육 FGI / 131
1. 여성안전교육 FGI 개요 / 133
가. 여성안전교육 FGI 목적 / 133
나. FGI 참여대상 및 내용 / 134
다. 조사일정 및 조사방법 / 136
2. 안전교육 현황 및 안전교육의 문제점 / 137
가. 안전교육 현황 / 137
나. 안전교육콘텐츠 문제점 / 140
다. 교육 부재로 인한 여성의 안전역량 감소 / 144
라. 안전 교육강사의 부족 및 혼란 / 147
3. 여성대상 안전교육 확대방안 / 148
가. 돌봄자로서의 여성안전교육 확대 / 148
나. 사각지대 여성대상 안전교육 / 152
4. 소결: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안전교육 확대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154


3부
Ⅰ. 생애주기별 여성안전 실태조사 / 159
1. 조사목적 및 방법 / 162
가. 조사목적 / 162
나. 조사방법 / 162
2. 분야별 안전현황의 성별 차이 / 165
가. 생애주기별 생활안전분야 안전현황의 성별 차이 / 166
나. 생애주기별 교통안전분야 안전현황의 성별 차이 / 174
다. 생애주기별 자연재난안전분야 안전현황의 성별 차이 / 177
라. 생애주기별 범죄안전분야 안전현황의 성별 차이 / 183
마. 생애주기별 보건안전분야 안전현황의 성별 차이 / 186
바. 소결: 생애주기별 안전역량의 성별 차이 / 191
3. 안전교육의 성별 차이 / 204
가. 생애주기별 남녀 안전교육 현황 / 204
나.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인지의 성별 차이 / 229
다.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경험의 성별 차이 / 231
라.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교육수요의 성별 차이 / 232
4. 자녀의 발달단계별 부모의 안전인지 및 교육현황 / 233
가. 자녀의 발달단계별 부모의 안전인지의 차이 / 234
나. 자녀의 발달단계별 부모의 안전교육 경험의 차이 / 245
다. 소결 / 249
5. 노인의 안전인지 및 교육현황의 성별 차이 / 250
가. 노인의 성별 안전인지의 차이 / 251
나. 노인의 성별 안전교육 경험의 차이 / 253
다. 소결 / 255


4부
Ⅰ. 가정과 생활공간에서의 여성안전정책과 안전교육 개선방안 / 259
1. 집단적 특성을 고려한 안전정책 강화 / 261
가. 생애주기별·성별 위험노출도 통계 생산 / 261
나. 안전정책 및 안전교육정책의 세밀화 / 263
2. 안전교육의 체계적 관리방안 / 266
가. 안전교육관리 중앙전담기구의 설치 / 266
나.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담당 전문교육인력의 양성과 관리 / 267
3. 안전교육 콘텐츠 강화방안 / 268
가. 안전교육 콘텐츠 매뉴얼화 / 268
나. 성별, 생애주기별, 상황별 안전교육 콘텐츠의 다양화 / 270


* 참고문헌 / 273


* 부 록 / 279
[부록 1] 생애주기별 여성안전교육현황 실태조사 설문지 / 281
[부록 2] 안전교육콘텐츠 분석 결과표 / 294
[부록 3] 생애주기별 여성안전교육현황 실태조사 분석 결과표 / 300


* Abstract / 321
Author
장미혜,동제연,정지연,이주호,전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