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Ⅰ. 서 론 / 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5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5
나. 연구의 목적 / 9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 10
가. 연구내용 / 10
나. 연구방법 / 11
Ⅱ. 이론적 검토 및 국내외 정책 사례 분석 / 15
1. 생애주기별 여성안전과 안전교육에 대한 기존연구 / 17
가. 생애주기별 가정과 생활공간에서의 안전 / 17
나. 여성위험과 안전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 / 28
다. 해외의 여성안전정책 / 32
2. 일본의 생활안전정책 및 안전교육 현황 / 33
가. 일본의 남녀공동참획정책의 기본방향 이해 / 34
나. 일본의 생활안전 정책과 안전·안심마을만들기 현황 / 41
다. 일본의 안전교육 현황 / 54
라. 성인지적 관점에서 일본 안전정책 및 안전교육의 시사점 / 56
3. 국내의 안전정책 및 안전교육정책 / 59
가. 국민안전처의 안전정책 / 60
나. 안전교육관련 법률 및 안전교육정책 / 68
다. 소결: 안전정책과 안전교육정책의 개선방향 / 79
4. 생활체감형 여성안전지수 / 80
가. 기존 안전지수 검토 / 80
나. 여성안전지수 개발 / 83
다. 결론 및 제언 / 91
2부
Ⅰ. 안전교육콘텐츠 분석 / 97
1. 안전 분야별 안전교육의 현황 및 특성 / 99
2. 여성대상 안전교육의 현황 및 특성 / 111
3.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의 현황 및 특성 / 123
Ⅱ. 여성안전교육 FGI / 131
1. 여성안전교육 FGI 개요 / 133
가. 여성안전교육 FGI 목적 / 133
나. FGI 참여대상 및 내용 / 134
다. 조사일정 및 조사방법 / 136
2. 안전교육 현황 및 안전교육의 문제점 / 137
가. 안전교육 현황 / 137
나. 안전교육콘텐츠 문제점 / 140
다. 교육 부재로 인한 여성의 안전역량 감소 / 144
라. 안전 교육강사의 부족 및 혼란 / 147
3. 여성대상 안전교육 확대방안 / 148
가. 돌봄자로서의 여성안전교육 확대 / 148
나. 사각지대 여성대상 안전교육 / 152
4. 소결: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안전교육 확대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