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3
2. 연구내용과 방법 / 4
가. 연구내용 / 4
나. 연구방법 / 5
3. 보고서의 구성 / 10
Ⅱ. 지난 30년간 여성정책의 성과와 과제 / 13
1.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 / 15
가. 개요 / 15
나. 성과 / 16
다. 개선과제 / 17
라. 정책과제 / 18
2. 성별분업 완화 / 19
가. 개요 / 19
나. 성과 / 19
다. 개선과제 / 21
라. 정책과제 / 22
3. 의사결정과정에서 여성의 대표성 증진 / 23
가. 개요 / 23
나. 성과 / 23
다. 개선과제 / 24
라. 정책과제 / 25
4. 취약계층 여성의 역량 강화 / 27
가. 개요 / 27
나. 성과 / 27
다. 개선과제 / 28
라. 정책과제 / 28
5. 폭력으로부터의 안전 / 29
가. 개요 / 29
나. 성과 / 30
다. 개선과제 / 30
라. 정책과제 / 31
6. 양성평등 의식과 문화의 확산 / 32
가. 개요 / 32
나. 성과 / 33
다. 개선과제 / 33
라. 정책과제 / 34
7. 성평등 정책 추진 기반 강화 / 35
가. 개요 / 35
나. 성과 / 36
다. 개선과제 / 36
라. 정책과제 / 37
8. 성 주류화 확산 / 40
가. 개요 / 40
나. 성과 / 41
다. 개선과제 / 41
라. 정책과제 / 43
9. 양성평등정책에서 기존 여성정책의 영역별 중요도 / 44
10. 소 결 / 45
Ⅲ. 미래 환경 변화와 양성평등정책 의제 / 47
1. 미래 환경 변화와 양성평등 / 49
가. 인구구조의 변화 / 49
나. 가족의 변화 및 글로벌 이주의 증가 / 51
다. 고용없는 성장과 취업구조의 변화 / 53
라. 디지털 기술의 발전 / 55
마. 사회갈등의 심화 / 56
바. 통일 / 58
2. 양성평등정책 의제와 정책적 대응의 시급성 / 60
가. 미래 양성평등정책 의제 / 60
나. 미래 양성평등정책 의제의 시급성 / 62
3. 소결 / 66
Ⅳ. 양성평등정책의 쟁점 / 69
1. 양성평등정책과 여성정책의 차이 / 71
가. 차이가 있다는 입장 / 72
나. 차이가 없다는 입장 / 74
2. 정책명칭 변화의 영향 / 74
가. 남성을 위한 정책 요구의 증가와 기존 여성정책의 약화 / 75
나. 정책에서의 변화 부재 / 78
다. 남성을 위한 정책요구와 기존 여성정책의 병행 / 79
3. 남성대상 정책의 방향 / 80
가. 남성대상 정책의 유형과 중요성 / 80
나. 중요도와 합의 수준이 높은 정책 / 83
다. 중요도는 높지만 합의 수준이 낮은 정책: 성평등을 위한 활동에서 남성 참여 확대 / 86
라. 중요도와 합의 수준이 낮은 정책 / 87
4. 소결 / 91
Ⅴ. 양성평등정책 추진 방향 / 95
1. 양성평등의 개념: 성불평등한 관계의 변화 / 97
2. 양성평등정책 방향 / 99
* 참고문헌 / 103
* 부 록 / 105
[부록] 1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 참고자료 / 107
[부록] 2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 참고자료 /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