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중심사회에 기반한여성직업능력개발체계 분석 및 정책과제(Ⅰ)

$16.74
SKU
978898491806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12/31
Pages/Weight/Size 174*250*30mm
ISBN 9788984918061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본 연구는 2개년도의 일반과제로 기획되었으며 2016년 올해는 1차년도 과제로 NCS의 도입으로 인해 가장 큰 변화를 맞고 있는 중·장년 여성의 직업훈련체계에 대해 초점을 맞춰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 연구질문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중·장년 대상의 직업훈련체계 변화 속에서의 NCS기반 여성직업훈련의 정체성과 중·장년 여성들이 NCS기반 훈련과정을 이수할 때 겪을 애로점 및 개선점, 그리고 향후 이 제도로 인해 중·장년 여성의 노동시장 이행과정에 어떤 구체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실질적 현황을 알 수 있는 행정 DB 분석, 직업훈련기관 관계자 대상의 설문조사 및 면접, 직업훈련 수료생 대상의 설문조사 및 면접 그리고 직업훈련현장방문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Contents
Ⅰ. 서 론 /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 내용 / 7
3. 연구방법 / 9
4. 연구 수행 절차 / 11


Ⅱ. 여성직업능력개발 지원제도 현황 / 13
1. 여성 고용의 특성 / 15
가. 일반적 현황 / 15
나. 지역별 현황 / 28
2. 국내 직업능력개발 지원제도의 현황 / 30
가. 직업능력개발체계의 변화 / 30
나. 여성직업훈련의 제도 변화 / 46
3. 영국의 직업능력표준 정책 / 50
가. 영국의 여성 노동시장 특성 / 50
나. 여성의 직업훈련 참여 / 53
다. 영국의 직업능력표준 정책과 운영 / 55
4. 요약 및 시사점 / 62
가. 요약 / 62
나. 시사점 / 68


Ⅲ. 직업능력개발훈련 여성 참여 실태 / 71
1. 분석개요 / 73
2. 실업자 직업훈련 현황 분석 / 76
가. 실업자 훈련기관 분석 결과 / 76
나. 실업자 훈련생 분석 결과 / 99
3. 재직자 직업훈련 현황 분석 / 110
가. 재직자 훈련기관 분석 결과 / 110
나. 재직자 훈련생 분석 결과 / 120
4. 실업자 훈련 효과 분석 및 전반적 시사점 / 128
가. 실업자 훈련의 취업효과 분석 / 128
나. 요약 및 시사점 / 133


Ⅳ. 직업훈련 실태 / 137
1. 조사개요 / 139
가. 조사 수행 개요 / 139
나. 구조화된 설문지와 연구 질문 / 141
2. 훈련기관 조사 결과 / 144
가. 응답자 특성 / 144
나. 훈련과정 현황 및 필요성 / 153
다. 훈련과정에 대한 인식 / 177
라. 훈련과정 운영 현황 / 194
마. NCS기반 훈련과정의 효과성 / 212
바. 취업지원 실태 / 220
3. 훈련생 조사 결과 / 232
가. 조사 대상자의 특징 / 232
나. 직업훈련과정 수강 경험 / 235
다. 훈련기관 이용경로 및 배경 / 240
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도입한 직업훈련과정 이수 실태 / 243
마. 희망 일자리의 특징 / 253
바. 훈련기관 및 훈련과정에 대한 훈련생의 태도 및 인식 / 261
사. 수료 후 전망 및 취업지원서비스 만족도 / 267
4. 요약 및 시사점 / 279
가. 훈련기관 조사 결과 / 279
나. 훈련생 조사 결과 / 283
다. 시사점 / 284


Ⅴ. 여성직업훈련의 NCS 도입·활용에 대한 인식·실태 분석 / 287
1. 조사의 배경 / 289
2. 훈련기관의 NCS 인식·실태 분석 / 291
가. 조사개요 / 291
나. 직업훈련기관 담당자 초점집단면접 결과 / 293
3. 훈련생의 NCS 인식·실태 분석 / 307
가. 조사개요 / 307
나. 훈련생 초점집단면접 결과 / 310
4. 요약 및 시사점 / 341
가. 훈련기관 FGI 결과 / 341
나. 훈련생 FGI 결과 / 345


Ⅵ. 중·장년 여성직업훈련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 / 353
1. 중·장년 여성 대상 직업훈련의 유연성 강화 / 355
가. 정책제안의 배경 / 355
나. 정책제안 / 357
2. NCS기반 훈련 전환에 따른 학습효과 강화 / 362
가. 정책제안의 배경 / 362
나. 정책제안 / 366
3. ‘직업능력개발계좌제’와 ‘취업지원서비스’의 유연한 연계를 통한 고용성과 제고 / 375
가. 정책제안의 배경 / 375
나. 정책제안 / 377
4. 여성직업훈련기관의 NCS 이해도 증진 및 활용 강화 방안 / 379
가. 정책제안의 배경 / 379
나. 정책제안 / 382


* 참고문헌 / 385


* 부 록 / 391
부록 1. 여성 고용 현황 / 393
부록 2. 여성직업훈련 지원제도 관련 현황 / 394
부록 3. 영국의 직업능력표준 정책 / 397
부록 4. 직업능력개발훈련 여성 참여 관련 현황 / 403
부록 5. 실태조사 설문지 / 412


* Abstract / 439
Author
오은진,신선미,장희영,김미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