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사전시관의 개관(2002.12) 10주년을 맞아, 구체적·직접적인 對民접촉의 ‘체감형 여성정책사업’으로서 정책적 활용을 한층 강화하고, 향후「(가칭)국립여성역사박물관」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momentom)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정부 내 모든 정책의 효율적 집행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여성정책 관련 주체들간 유기적 결합과 연계를 통해,「여성사전시관」을 비롯한 제 사업들의 정책적 기대효과를 더욱 높일 방안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세계 각국에서는 사회발전과정에서의 여성 활약상을 기록·보존하기 위한 여성박물관 건립 움직임에 적극적이고, 기 건립된 박물관간 교류도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하다. 이상의 배경에서 여성문화유산’기반의 국민체감형 정책사업으로서 정책적 활용을 한층 강화하고 국내외 네트워크에 기반하는 여성사전시관의 혁신적 운영 방안으로서, (가칭)국립여성역사박물관으로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Contents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3. 기대효과
Ⅱ. (가칭)국립여성역사박물관 건립, 왜 필요한가?
1. 박물관의 젠더링(gendering): 역사 속 여성 찾기 & 여성 속 역사 찾기
2. 여성문화유산의 정책적 활용
Ⅲ. 외국의 사례
1. 여성박물관 설치를 향한 세계적 추세
2. 세계여성박물관네트워크(women in museum)
3. 미국여성역사박물관(NWHM: National Women’s History Museum) 건립 추진 사례
Ⅳ. (가칭)국립여성역사박물관, 무엇을 담을 것인가?
1. 박물관 전시 방향 및 구성
2. 여성박물관 전시, 어떻게 할 것인가(예시)
Ⅴ. (가칭)국립여성역사박물관 건립,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1. 관련법 제정
2. 지지자원 확보
3. NWHM 및 유관 박물관 사례들의 시사점에 유의한 건립
4. 박물관 건립추진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