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가. 연구의 범위
나.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추진반법 및 체계
가. 연구의 추진방법
나. 연구의 추진체계
4.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Ⅱ. 경북지역의 성 주류화 특성과 정책개선 사례 분석
1. 경북지역의 특성과 일반현황
가. 일반현황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
나. 경제활동 여건
2. 경북지역의 성 주류화 추진기반 및 체계
가. 추진기반 및 체계
나. 성 주류화 전략 사업 추진과정 및 수행결과
3. 경북지역의 성 주류화 정책개선 주체 파악 및 사례 분석
가. 성별영향분석평가 정책개선 주체 파악 및 현황
나. 경북지역 성별영향분석평가 정책개선 내용 및 시사점
다. 성별영향분석평가 정책개선 추진의 장애요인 및 시사점
Ⅲ. 경북지역의 일자리 창출사업과 성 주류화 쟁점
1. 경북지역의 일자리 창출사업 내용 및 추진체계
가. 일자리 창출사업의 의미 및 유형
나. 일자리 창출사업의 추진체계 및 실적
2. 경북지역의 일자리 창출사업 성 주류화 현황과 쟁점
가. 일자리 창출사업의 성 주류화 현황
나. 일자리 창출사업의 분야별 추진 주체 검토
다. 일자리 창출사업의 정책개선방안과 성 주류화 쟁점
3. 경북지역의 일자리 창출사업 성 주류화 추진을 위한 사례
가. 다문화가족지원 일자리 창출사업 사례
나. 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사업 사례
Ⅳ. 경북지역의 성 주류화 추진체계 매뉴얼 적용 및 문제점 분석
1. 경북지역의 일자리 창출사업 성 주류화 실행주체 분석
가. 다문화가족지원 일자리 창출사업
나. 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사업
2. 경북지역의 성 주류화 실행주체를 중심으로 한 의견 수렴 및 분석
가. FGI 조사개요
나. 실행주체의 성 주류화 인식 분석
다. 성 주류화 실행을 위한 거버넌스 추진에 관한 인식
3. 경북지역의 성 주류화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워크숍 운영 및 결과
가. 운영 개요
나. 운영 내용
다. 운영 결과
Ⅴ. 경북지역의 성 주류화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정책개선 실행 매뉴얼 개발
1. 경북지역의 성 주류화 추진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기본 모델
가. 성 주류화 추진의 정치적 맥락
나. 성 주류화 추진의 기본 모델: 삼각연대 중심으로
다. 성 주류화 추진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주체의 역할 분담
라. 성 주류화 확산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확장 모델: 육각연대를 중심으로
2. 경북지역의 성 주류화 추진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정책개선 실행 매뉴얼 개발
가. 성 주류화 추진 거버넌스 구축 방향
나. 성 주류화 확산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단계: 정부중심의 비대칭적 파트너십에서 수평적 네트워크 거버넌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