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 피해자의 정신건강 현황에 대한 근거중심의 통계를 제시하 고자 함. 최근 성폭력 피해자들의 건강상태현황을 분석하고 기존 자료를 활용하여 일반인의 정신건강 수준과 성폭력 피해여성의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 등의 정신건강 수준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성폭력 피해자 심층면접과 전문가 면접을 통하여 정신건강과 관련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ontents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II. 성폭력 피해여성의 건강상태
1. 성폭력피해 전·후의 건강상태
가. 신체적 건강상태
나. 정신적 건강상태
2. 성폭력피해에 따른 정신적 건강상태의 변화
가. 스트레스
나. 우울감
다.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
라. 음주량과 흡연량
마. 현재 가장 심각한 정신문제
3. 일반인과 성폭력피해자의 정신건강수준 비교
4. 성폭력시기 및 횟수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 상관분석
5. 소결
III. 성폭력 피해여성 심층면접
1.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가. 연구목적
나. 연구방법
2. 연구결과
가. 벗어날 수 없는 암흑의 시간
나. 성폭력 신고 후 맞닥뜨린 또 다른 고통
다. 그래도 살아보기 위해 버팀
라. 송두리째 빼앗긴 나의 인생
3. 소결
IV. 결론 및 정책 방안
1. 결론
2. 정책 방안
가. 언론매체를 이용한 성폭력 범죄에 대한 국민의식 전환
나. 성폭력 범죄 신고체계 확립
다. 성교육 프로그램 확대 및 기준 확립
라. 학교급별, 연령별 성교육에 성추행에 대한 교육내용 추가 필요
마. 성폭력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및 지역사회 스크리닝 시스템 운영
바. 초등, 중등교사 대상 아동, 학생의 우울증 징후 발견 교육 필요
사. 해바라기 센터-원스톱센터 홍보강화 및 학교연계체계 구축
아. 성폭력 전문간호사의 양성 및 원스톱센터에 배치를 통한 피해자의 이차피해 예방 및 지지
자. 피해자의 정신건강 회복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체계 확립
차.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과 정신건강지원센터, 자살예방지원센터간 연계체계 구축
카. 성폭력상담소상담인력과 복지인력 간 처우격차해소로 사기진작
타. 시민교실을 활용한 일반인대상 인권교육, 양성평등의식교육
파. 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자조모임 운영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