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여성의 경우 탈북과정에서부터 정착생활까지 남성과는 다른 경험을 하게 되며, 정착의 과정에서도 임신, 출산, 육아의 문제로 인하여 곤란을 겪고 있으며, 가족생활에서도 부부관계의 갈등 및 해체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이 남한사회에서 가족을 이루고 생활하면서 가족으로서 남한사회에의 적응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부모역할에 주목하여 이들의 부모역량을 지원하고 강화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Contents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내용,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가. 연구내용
나. 연구대상
다. 연구방법
3. 연구의 구성
Ⅱ. 이론적 논의
1. 북한이탈주민 입국특성 변화와 추이
가. 북한이탈 입국자수의 지속적인 증가
나. 입국자들의 특성 및 변화
2. 북한이탈여성의 부모역량 정의와 범주
가. 북한이탈여성의 부모역량 정의
나. 북한이탈여성의 부모역량 구성범주
3. 연구의 분석틀
4. 선행연구 검토
가. 전반적인 실태조사
나. 북한이탈가족 및 여성에 관한 연구
Ⅲ.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생활, 부모역할, 사회적응(1): 설문조사 분석
1. 조사 개요
가. 조사대상 및 방법
나. 설문내용의 구성
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북한이탈여성과 남성의 가족생활, 부모역할, 사회적응
가. 가족생활
나. 부모역할 수행
다. 부모역할 효능감
라. 사회적응
마. 정책이용 경험 및 욕구
3. 북한이탈 청소년자녀의 가족생활, 학교생활, 사회적응
가. 가족생활
나. 학교생활
다. 사회적응
4. 소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