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 사회적 관계는 사회통합 상에서 제기되는 문제 해결에 동원할 수 있는 자원으로 정의하였다. 연령, 성별, 교육수준 등 이주 이전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사회적 관계는 이주사회(목적지사회)가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이다.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 현황을 점검하고 결혼이민자의 사회통합에 긍정적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관계 발전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Contents
Ⅰ. 연구개요
Ⅱ. 기존 연구 리뷰 및 원자료 분석
Ⅲ.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와 사회통합
Ⅳ.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 경험과 사회적 관계의 역동성
Ⅴ. 결론 및 정책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