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제도가 여성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 및 가구 단위의 미시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개인소득세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녀세액공제제도의 도입이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재정적 유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근로장려세제의 시행으로 인해 가구 내 개인인 여성의 대체효과가 소득효과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노동참가율이 증가하였고, 제도 설계 시 가구 내 주소득자와 부소득자의 근로현황과 자녀유무 등과 같은 가구 특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Contents
제1부 개인소득세의 성인지적 분석
Ⅰ. 서론
Ⅱ. 개인소득세와 성평등
Ⅲ. 근로소득세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시간에 미치는 영향
Ⅳ. 결론 및 정책 시사점
제2부 근로장려세제의 성인지적 분석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 연구
Ⅲ. 제도분석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