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여성장애인의 지위와 실태를 객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여성장애인 지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여성장애인 지표의 활성화를 위해 '하나의 조사에서 남녀장애인과 남녀비장애인의 직접비교가 가능한 장애인통계'를 향후 장애인 통계 정책 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안을 제안하였다.
Contents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가. 연구배경
나. 연구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
나. 연구방법
3. 연구의 기대효과
II. 여성장애인 관련 개념 및 정책 현황 검토
1. 장애와 이중차별
가. 장애의 정의
나. 장애인복지법상의 장애 범주
다. 여성장애인과 이중차별
2. 여성장애인의 생애주기별 주요이슈
3. 관련법과 정책 현황
가. 관련법
나. 관련 정책
4. 여성장애인 관련 개념 및 정책현황 검토의 함의
III. 국내외 여성장애인 지표 및 통계 생산 현황 분석
1. 국내외 여성장애인 지표 생산 현황
가. 국내의 장애인 지표 생산 현황
나. 해외의 여성장애인 지표 생산 현황
2. 국내외 장애인통계 생산 현황
가. 국내의 장애인통계 생산 현황
나. 해외의 장애인통계 생산 현황
다. 소결
3. 여성장애인 지표(안)의 활용성 탐색: 2009년 「사회조사」적용
가. 개요
나. 적용결과
다. 소결
V.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 론
2. 정책제언
가. 향후 장애인통계의 정책방향
나. 여성장애인통계의 개선: 국가승인통계의 성별 및 장애상태 작성 의무화
다. 여성장애인통계의 개발
라. 법제도 개선
마. 장애인통계 선진화 협의회(가칭) 구성ㆍ운영
바. 여성장애인 지표DB 구축ㆍ관리 및 접근성 제고
ㆍ참고문헌
ㆍ부 록
부록1 2009년「사회조사」원자료 분석 결과
부록2 「여성장애인 지표 개발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설문지
부록3 전문가 조사 결과표
부록4 여성장애인 지표(안)의 최종 선정 결과
부록5 최종 선정 여성장애인 지표 출처
부록6 최종 선정 여성장애인 지표와 제3차 장애인정책발전 5개년 계획 세부추진과제 연계표
부록7 주요 여성장애인 지표 예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