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수행되고 있는 국내 국제결혼가정의 학령기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교육지원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육지원 실천사례를 발굴, 분석함으로써 현안 문제와 개선점,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교육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국제결혼가정의 형성배경뿐 아니라 역사ㆍ문화적으로도 우리와 유사한 환경에 있는 일본, 대만의 교육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국외 사례에 대해서도 탐색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이들 국가의 교육지원 정책, 교육 환경, 교육지원 실태뿐만 아니라 교육실천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Content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가. 연구의 방향 설정
나. 연구의 이론적 기초 탐색
다. 이민자 부모의 출신국 언어 자녀 교육지원 현황 분석틀 설정
라. 국내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 교육지원 현황 분석
마. 일본의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모어 교육지원 현황 분석
바. 대만의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모어 교육지원 현황 분석
사. 향후 교육지원에의 시사점 제안
3. 연구 절차 및 방법
Ⅱ. 연구의 이론적 기초
1. 이민자 자녀 대상 언어교육 관련 용어
가. 이중언어
나. 모어, 계승어
다. 시사점
2. 이민자 자녀를 위한 언어교육의 국제동향
가. 국제기구의 동향
나. 주요국의 동향
다. 시사점
3. 언어교육의 효과 및 지원방식
가. 이중언어교육의 효과
나. 언어교육지원 방식
다. 시사점
Ⅲ. 한국 사례
1. 교육지원의 배경
가.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지원 정책
나. 정책추진 체계
2. 교육지원 대상(국제결혼가정 학생) 현황
3.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 교육의 정책적 지원
가. 16개 시도교육청의 언어 교육지원 현황
나. 서울시 이중언어 강사 양성 및 배치사업
4.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 교육지원 실천 사례
가. 학교중심 사례
나. 지역 차원의 사례
다. 의견조사를 통해서 본 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교육
Ⅳ. 일본 사례
1. 교육지원의 배경
2. 일본 내 다문화 현황
3. 모어교육의 정책적 지원
가. 중앙정부
나. 지방정부
4. 모어교육의 실천 사례
가. 학교중심 사례
나. 지역차원 사례
Ⅴ. 대만 사례
1. 교육지원의 배경
가. 사회적 배경
나. 모어전승 교육과정의 필요성
2. 대만 내 다문화 현황
가. 신주민 현황
나. 국적별 신생아 출생수
다. 신주민 자녀의 취학 현황
라. 신주민 자녀의 부모 국적별 현황
3. 모어교육의 정책적 지원
가. 중앙 정부의 정책 지원
나. 지방 정부의 정책 지원
다. 타이베이시의 신주민 관련 정책
라. 타이베이현의 신주민 관련 정책
4. 모어교육의 실천 사례
가. 타이베이현의 실천 사례
나. 타이베이시의 실천사례
다. 타이베이현과 타이베이시의 운영 현황 비교
Ⅵ. 국가 간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1. 국가 간 비교
가. 교육지원 현황 비교
나. 실천사례 비교
2. 정책적 시사점
가. 한국
나. 일본
다. 대만
라. 종합 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