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 현황과 증진방안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 3
$12.42
SKU
978898491325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5 - Wed 05/2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Wed 05/1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12/16
Pages/Weight/Size 176*250*20mm
ISBN 9788984913257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이주민의 지역사회 참여 실태를 파악하고, 지역사회 참여를 통해 사회통합을 더욱 증진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연구보고서이다. 이주자의 사회통합이란 이주자 개인이 한국사회에 일방적으로 적응하고 동화되는 단순한 과정이 아니라, 삶이 영위되는 생활공간에서의 문화간 접촉과 사회관계의 형성, 사적인 가족관계를 넘어선 지역사회의 다양한 활동에의 참여 등 복합적인 경험이 누적되면서 생기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 첫 단계로서 이 연구보고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참여를 분석하고 정책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Contents
Ⅰ. 서 장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1) 문헌연구
2) 결혼이주여성 심층면접조사
3) 전문가 면접 및 서면조사
3. 연구의 기대효과 및 한계

Ⅱ. 기존연구 검토 및 분석틀
1. 기존연구 검토
1) 결혼이주여성 실태 및 현황에 관한 연구
2) 이주민의 지역사회 참여 - 외국의 연구 동향
3) 한국의 이주와 지역사회 관련 연구 검토
2. 주요 개념 및 분석틀
1) 주요 개념의 정의
2) 분석틀
3. 소결

Ⅲ. 결혼이주여성의 개인적 배경과 지역사회 참여
1. 면접 참여자 특성과 가족관계
1) 출신국가와 한국어 능력
2) 결혼과정과 가족관계
2. 이주 이전의 생애경험과 특징
1) 교육수준
2) 직장 및 사회경험
3. 지역사회 참여와 취업
4. 소결

Ⅳ. 지역사회 참여의 경로와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
1. 지역사회 참여의 경로
1) 배경
2) 지역사회 참여의 경로
3) 지역사회 활동 참여와 가족관계
2. 이주여성의 사회관계망
3. 공동체, 자조모임의 형성
1) 본국과의 연계, 초국적 공동체의 단초
2) 이주여성 자조모임
4. 소결 : 공동체, 사회관계망, 갈등

Ⅴ. 지역사회 내 이주민의 생활경험과 참여
1. 이웃·동네 주민과의 대면
1) 친밀한 이웃에서 마을 공동체 참여까지
2) 불편한 시선, 이웃과의 갈등
2. 자녀교육과 지역사회 참여
3. 지역사회 정책과 이주여성의 경험
1) 정책 서비스 수혜자로서의 경험
2) 지역사회 정책 참여의 경험
4. 소결

Ⅵ. 이주여성의 시민사회 참여
1. 이주여성의 시민사회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시민사회 활동 참여 동기 및 유형
1) 동기
2) 활동 내용 및 유형
3. 이주여성의 시민사회 참여와 다양한 경험
4. 소결

Ⅶ. 결론 및 정책 제언
1. 연구결과 요약
1) 심층면접 조사
2) 전문가 조사
2. 정책제언
1) 초기 적응단계 이후의 지역사회 참여 지원정책 체계화
2) 지역사회 네트워크, 협의체 구성
3) 정책결정과정에 이주민의 참여기회 확대
4) 이주민과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브리지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5) 이주여성 역량강화 및 평생교육 체계화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설문지(심층면접)
부록 2 전문가 서면조사 설문지 및 답변 내용 요약
부록 3 호주의 정책사례 자료 - ‘Living in Harmony Project’
Abstract
Author
황정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