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이론적 논의와 주요 선행 연구
1. 여성자원봉사활동의 개념과 동기
가. 자원봉사활동의 개념과 동기
나. 여성자원봉사활동의 개념과 동기
2. 여성 자원봉사활동의 가치를 측정하는 이유와 주요척도
가. 자원봉사활동의 가치를 측정하는 이유
나. 자원봉사활동의 가치를 측정하는 주요 척도
3. 국내외 선행연구
가. 자원봉사활동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나.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요인 및 인정·보상에 관한 연구
다. 자원봉사활동의 경제적 가치추정 및 세금공제혜택 효과 등에 관한 연구 96
라. 여성자원봉사활동 관련 선행연구
Ⅳ. 국가별 자원봉사활동관련 지원정책
1. 미국
가. 평생 교육체계 및 인정·보상체계
나. 민·관 인프라
다. 관리 및 조사연구
2. 영국
가. 평생교육 체계 및 인정·보상체계
나. 민·관 인프라
다. 관리 및 조사연구
3. 일본
가. 평생교육 체계 및 인정·보상체계
나. 민·관 인프라
다. 관리 및 조사연구
4. 기타 국가들
가. 자원봉사활동 관련 지원 정책
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세제혜택정책
5. 소결
Ⅴ. 한국의 자원봉사활동 관련 지원 법, 정책현황과 여성이슈
1. 자원봉사활동 관련 지원 법 및 정책현황
가. 자원봉사활동기본법과 소득세법
나. 자원봉사진흥시행계획
다. 자원봉사센터
라. 자원봉사활동의 인정보상제도
2. 여성이슈: 여성자원봉사자 심층 면접 결과
가. 자원봉사활동 현황
나. 자원봉사활동 동기와 추진요인
다. 자원봉사활동의 장애요인
라. 자원봉사활동의 지원정책과 요구
마. 소결
Ⅵ. 여성자원봉사활동의 경제적 가치
1. 여성 자원봉사활동함수의 도출
2. 자료의 특성 및 변수의 설명
3. 여성 자원봉사활동함수의 추정결과
가. 자원봉사활동 참가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나. 자원봉사활동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여성 자원봉사활동의 경제적 가치와 세제혜택효과 추정
가. 자원봉사활동의 경제적 가치
나. 세제혜택효과 추정
5. 소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