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이 안전한 사회만들기를 목표로 하여 여성과 관련된 안전대책에 대한 정책연구보고서이다. 생활환경 속에서 여성의 안전증진과 관련하여 일상적인 생활이 영위되는 지역 내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위험 영역중 식품, 폭력, 도시공간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특히 여성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고 판단한 위의 세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여성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발생의 실태, 인식에 대한 실태조사, 이와 관련한 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Contents
I.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내용 및 방법론
3. 연구의 기대효과
Ⅱ. 연구의 배경
1. 사회적 안전에 대한 이론적 논의
2. 젠더적 관점에서 본 사회적 안전
3. 안전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의 성별 차이
4. 여성에게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해외사례
Ⅲ. 한국사회에서의 여성의 안전 실태 조사결과
1. 조사방법 및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사회적 위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성별차이
3. 사회적 위험 발생 가능성 및 방지가능성, 예방활동의사
4. 범죄 및 안전 관리에서의 사회적 대응에 대한 신뢰
5. 시간대 및 공간별 안전체감도의 성별차이
6. 주요영역별 여성 안전정책 현황
Ⅳ. 여성에게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대안 및 과제
1. 여성안전을 위한 정책요구도
2. 생활환경 속에서의 여성의 안전증진을 위한 사회적 신뢰구축 방안
3. 생활환경 속에서의 여성의 안전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참고문헌
부록 1. 위험방지를 위해 관여하는 각 대상에 대한 신뢰(표 1∼표 10)
부록 2. 조사 질문지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