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은 '단일민족국가'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다문화사회로 변화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와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책은 다문화사회에 대한 한국사회의 특수성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앞으로 다가올 다문화사회의 전개단계에 따른 문화의제의 방향을 예측하는 연구의 결과물이다.
다문화사회의 유형과 발전단계에 따른 문화의제의 전망, 다문화 사회 관련 정책 전개 과정 및 정책 성격의 파악, 다문화사회 문화 정책의 현황점검 등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다. 주요 서비스 기관의 사업추진 현황을 토대로 정책 구현의 현실을 분석하였고, 해외 정책 사례와 한국의 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Contents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다문화사회의 전개와 문화의제의 방향
1)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와 문화 의제의 의미
2) 다문화사회의 유형과 정책적 접근의 비교
3) 다문화사회의 전개단계와 문화의제
3. 연구 대상 정책의 범위와 유형
4. 연구 내용과 방법
1) 연구 내용
2) 연구 방법
Ⅱ. 다문화사회를 둘러싼 정책 담론의 형성과정
1. 외국인 이주의 역사와 담론의 전개과정
1) 근대 민족국가 형성과정 속의 이주민들: 19세기 말∼1980년대 중반
2) 이주민의 유입과 차별적 통합ㆍ지원정책의 형성: 1980년대 후반 이후
2. 다문화정책 담론의 구조
1) 정책 대상
2) 담론의 주체와 참여구조
3) 담론의 내용
3. 소결
Ⅲ. 정책추진현황
1. 정책 목표와 방향
1) 사회통합정책의 일환으로서 문화의제
2) 문화다양성 중심의 정책 형성 움직임
2. 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 추진 현황
1)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2) 부처별 추진 현황
3) 공모지원사업 현황
4) 지자체의 추진 현황
3. 서비스 기관의 사업 추진 현황
1) 자료수집방법
2) 사업 범위 및 우선순위
3) 사업별 세부 현황
4. 소결
1) 정책 목표와 방향
2) 세부정책별 추진현황
3) 정책 구현의 현실
Ⅳ. 해외 정책 사례
1. 해외정책사례 연구의 의의
2. 이주의 전개와 이주민의 제도적 위상
1) 이주의 전개
2) 이주민의 제도적 위상
3. 다문화 정책의 기본 방향
4. 주요 의제별 정책 비교
1) 이주민의 주류문화 적응
2) 이주민공동체 문화권 보호
3) 다문화사회 주체간 소통
5. 소결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다문화사회의 전개에 따른 문화정책의 과제
2. 정책제언
1) 소통에 기초한 다문화사회 구현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전환
2) 다문화사회 주체의 정책적 위상 확립
3) 다문화시민 역량 증진을 위한 문화정책 추진체계 확립
4) 상호문화 소통 증진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도입
5) 이주민의 문화권에 대한 단계적 접근 모색
참고문헌
별첨 자료
1. 지자체의 거주외국인 지원 조례 제정 현황
2. 사회통합프로그램 표준화 및 이수제 시범도입(안) 개요
3. 공모지원사업리스트
4. 조사대상기관
5. 서비스 기관 조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