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국경 협력에 대한 정치경제적 관점|성기영
1. 초국경 거래의 증대
2. 지역주의와 지역화
3. 미시지역화와 국경 협력
4. 국경 협력의 전개와 발전
5. 국경 협력과 안보
Ⅲ. 국경 협력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김수경
1. 국경 협력에 대한 탈(脫)국가중심적 접근
2. 국제협력이론과 사회문화적 국경 협력
3. 사회문화적 국경 협력의 이론적 배경
4. 문화와 정체성 공간으로의 국경
5. 국경 협력의 시민사회의 역할
6. 결론
Ⅳ. 정치경제적 차원의 국경 협력의 실제와 동북아 국경 협력의 가능성|나용우
1. 국경(國境)의 정치경제적 의미와 기능의 변화
2. 폐쇄와 단절에서 연결과 공존: 국경 도시 간 협력
3. 국경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통한 국경 협력
4. 에너지 · 인프라 협력을 통한 국경 협력
5. 동북아지역 초국경 협력의 가능성과 과제
Ⅴ. 난민수용을 둘러싼 유럽국가 간 갈등과 시민사회, 도시 간 협력|김신규
1. 머리말
2. 2014년 이전까지 유럽 공동의 이민/망명정책
3. 2015~2016년 이민/난민의 물결
4. EU, 회원국 정부 수준의 이민/망명정책
5. 시민사회와 유로시티(EUROCIRES)의 활동과 역할
6. 맺음말: EU 난민/망명정책의 시사점
Ⅵ. 결론|이기태
참고문헌
Author
이기태
일본 게이오대학교 정치학박사. 현재 통일연구원 평화연구실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일본의 외교안보정책, 한일관계, 북일관계 등이며, 저서로는 『한일 관계의 긴장과 화해(공저)』, 『‘일본회의’와 아베 정권의 우경화(공저)』, 『아베 시대 일본의 국가전략(공저)』, 『전후 일본 패러다임의 연속과 단절(공저)』 등이 있다.
일본 게이오대학교 정치학박사. 현재 통일연구원 평화연구실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일본의 외교안보정책, 한일관계, 북일관계 등이며, 저서로는 『한일 관계의 긴장과 화해(공저)』, 『‘일본회의’와 아베 정권의 우경화(공저)』, 『아베 시대 일본의 국가전략(공저)』, 『전후 일본 패러다임의 연속과 단절(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