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불량국가의 군사적 측면
1. 불량국가의 분류기준
가. 테러금지규범
나. 핵확산금지규범
다. 정치학살을 자행하는 국가
2. 국제체제와 불량국가
가. 패권과 동맹국 수
나. 미국의 패권과 불량국가
3. 불량국가의 국내적 속성
가. 군사화
나. 정치체제의 비민주성
4. 불량국가의 관계적 특성
가. 불량국가의 외교행태
나. 불량국가와 무력분쟁
다. 불량국가와 국제사회의 관계
제3장 비정상국가의 정치경제
1. 문제제기
2. 정치경제의 비정상성
가. 취약국가
나. 불량국가의 경제적 측면
3. 비정상국가의 경제적 특징
가. 경제지표
나. 비정상국가의 유형과 리스트
4. 비정상국가의 경제적 상호작용
가. 속성 파라미터
나. 상호작용의 패턴
제4장 국제사회의 지원과 북한에 대한 함의
1. 불량국가의 정상화 과정
가. 불량국가의 분화
나. 불량국가와 국제사회의 관계
2.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원
가. 정치경제적 차원의 지원
나. 외교정책 및 정치군사적 차원의 지원
다.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원을 위한 실천방안
제5장 맺는 말
참고문헌
부록
A. 비정상국가의 경제지표
B. 비정상국가 리스트
C. 비정상국가의 지리적 확산
D. 글로벌 경제지표
E. 주요 비정상국가 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