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 중의 노래

$13.61
SKU
978898478909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4/21 - Fri 04/2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16 - Fri 04/1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1/10/20
ISBN 9788984789098
Categories 종교 > 기독교(개신교)
Description
그리스도인의 영적 성숙의 여정을 밝혀주는 사랑의 노래! 워치만 니의 아가서 강해 에서 그 길을 찾으십시오.

하나님께 감사드리는 것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이 땅 위에 주님의 사랑에 매혹되어 주님을 뜨겁게 추구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노래 중의 노래' 는 특별히 그들을 위한 것이다. 은밀한 곳에서의 영적인 교통은 원래 거룩한 것이므로 마땅히 감추어져야 하는 것 같다.

그러나, 하나님은 오히려 아가서 안에서 친히 우리에게 계시하시어 우리가 사랑의 노정을 알고 또한 그 길을 걸어가도록 격려하신다.

이 책은 1935년 워치만 니 형제님이 몇몇 동역자들과 아가서를 연구하였는데, 그 요점을 받아 적은 기록이다. 시대적 필요 때문에 1945년에 처음으로 충칭(重慶)에서 발간되었고, 1948년에 칭다오(靑島)에서 두번째로 발간되었으며, 이번에 타이베이에서 다시 출판한다.
Contents
발간사/서문
도입의 말

제1단락 처음의 추구와 만족
제2단락 자아에서 벗어나라는 부르심
제3단락 승천의 부르심
제4단락 부활 후의 십자가의 부르심
제5단락 하나님의 일
제6단락 육체의 탄식
Author
워치만 니
지난 세기, 전세계 그리스도인들에게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친 저술가, 성경 연구가, 사역자. 전도유망한 젊은이였던 워치만 니는, 17세 되던 1920년 중국 본토에서 그리스도인이 되어 온 일생을 주님께 바치기로 결심했다. 사역의 초기, 그는 기독교 역사 가운데 가장 균형 잡히고 영적인 영문 서적 3,000여 권을 독파하며 성경에 대한 탁월한 빛과 계시를 소유하게 되었다. 30년 사역의 기간에, 그는 중국과 동남 아시아 등지에 수백 개의 교회를 세우는 한편, 하나님의 중심 계시, 곧 생명이신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대한 말씀들을 폭포수와 같이 해방했다. 1952년 자신의 신앙으로 인해 투옥된 워치만 니는 20년에 걸친 수감생활 동안 믿음을 지키다가 1972년 순교했다.

대표적 저서로는 『영에 속한 사람』을 비롯, 20여 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애독되고 있는 『정상적인 그리스도인의 생활』, 『자아의 파쇄와 영의 해방』등이 있다. 그는 죽었지만, 그가 남긴 말씀들은 영적인 계시의 풍성한 보고(寶庫)로 남아 전세계 그리스도인들을 공급하고 있으며, 베스트셀러를 넘어 우리 시대 고전(古典)으로 깊숙히 자리잡고 있다.
지난 세기, 전세계 그리스도인들에게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친 저술가, 성경 연구가, 사역자. 전도유망한 젊은이였던 워치만 니는, 17세 되던 1920년 중국 본토에서 그리스도인이 되어 온 일생을 주님께 바치기로 결심했다. 사역의 초기, 그는 기독교 역사 가운데 가장 균형 잡히고 영적인 영문 서적 3,000여 권을 독파하며 성경에 대한 탁월한 빛과 계시를 소유하게 되었다. 30년 사역의 기간에, 그는 중국과 동남 아시아 등지에 수백 개의 교회를 세우는 한편, 하나님의 중심 계시, 곧 생명이신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대한 말씀들을 폭포수와 같이 해방했다. 1952년 자신의 신앙으로 인해 투옥된 워치만 니는 20년에 걸친 수감생활 동안 믿음을 지키다가 1972년 순교했다.

대표적 저서로는 『영에 속한 사람』을 비롯, 20여 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애독되고 있는 『정상적인 그리스도인의 생활』, 『자아의 파쇄와 영의 해방』등이 있다. 그는 죽었지만, 그가 남긴 말씀들은 영적인 계시의 풍성한 보고(寶庫)로 남아 전세계 그리스도인들을 공급하고 있으며, 베스트셀러를 넘어 우리 시대 고전(古典)으로 깊숙히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