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중세문학 속의 동양설화

$14.04
SKU
978898477674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8/26
Pages/Weight/Size 153*225*20mm
ISBN 9788984776746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동양과 서양 사이에 존재해온 다양한 설화 전파의 형태와 그 가치를 이해하는 것은 세계 문학의 역사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한 지역의 문학을 독립적으로만 분리하여 이해하는 것은 지역 간에 엄연히 존재해온 교류와 공존의 역사를 간과하게 만들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국가주의에 얽매인 문학관과 제국 중심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서구가 동양의 설화문학에 빚진 것과 그들이 창조한 개별적 가치가 무엇인지를 동시에 밝혀내는 작업은 뜻깊은 일이라고 본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설화의 사례로, 동양지역에서 집대성된 설화집인 『칼릴라와 딤나Calila e Dimna』, 『바를람과 조사팟Barlaam y Josafat』, 『센데바르Sendebar』의 스페인 중세문학으로의 전파 및 변이 과정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중세시대에 이루어진 설화집 생성과 발전의 대표적 사례를 이해함에 역점을 둔다. 동양에서 생성된 이 핵심적인 설화집들이 서양 기독교 문화권의 한 축인 스페인으로 전파되어 생성된 주요 중세 판본들을 비교 · 분석하고 각 텍스트와 관련 시대성 간의 상호 연관성을 조망하여 최종적으로 스페인 중세 설화문학에 반영된 동서 교류의 현존과 그 가치를 밝히려는 것이다.
Contents
시작하는 말

제1장 동양설화의 스페인 중세문학으로의 전파
1. 역사와 현존
2. 설화 전파의 문헌적 근거
2.1. 설화집 형태
2.2. 개별 단편 형태
3. 설화 텍스트 전파와 변이의 유형
4. 주요 스페인 중세 설화 텍스트

제2장 『칼릴라와 딤나』
1. 텍스트 번역과 전파
2. 중세 스페인어본
3. 서문, 주제, 서사 구조
4. 번역과 모방 사례: 「도둑과 달빛
5. 변용 사례: 「밀고자 앵무새」 외
6. 개작 사례: 「수도승의 꿈」
7. 복합적 사례: 「거북과 원숭이」

제3장 『바를람과 조사팟』
1. 텍스트 전파와 초기 판본들
2. 문학사적 의의
3. 「사문유관」의 전승과 모방
4. 변용 사례: 「죽음의 나팔」 외
5. 개작 사례: 『그리스도의 두 병사, 바를람과 조사팟』외

제4장 『센데바르』
1. 텍스트 전파와 이븐 알 나딤의 『서지서』
2. 서문, 주제, 서사 구조
3. 모방 사례
4. 변용 사례: 「사자 이야기」 외
5. 텍스트 전승 계통의 이해

제5장 그 밖의 설화 전승 사례
1. 『수도사를 위한 지침서』
2. 『루카노르 백작』
3. 『엘 파트라뉴엘로』
4. 「세상의 위험에 대한 알레고리」

맺음말: 설화 전승의 논리
1. 설화와 정치권력
2. 보편적 사회윤리성
3. 설화 연구를 위한 성찰과 모색

참고문헌
1. 주요 일차 자료
2. 연구 논문 및 단행본

찾아보기

부록: 주요 단편 국문 번역
1. 「도둑과 달빛」
2. 「거북과 원숭이」
3. 「돼지 이야기」
4. 「귀와 심장이 없는 당나귀」
5. 「사문유관」
6. 「죽음의 나팔」
7. 「사냥꾼과 새」
8. 「시골 사람과 새」
9. 「유니콘 이야기」
10. 「일 년 왕」
Author
백승욱
스페인 중세 문헌 학자이다. 스페인 마드리드 아우토노마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미국 델라웨어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스페인 언어, 문학, 문화를 강의하였다. 세계스페인어문학회(AIH)의 이사직(2010-2016)을 역임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스페인 중세 문헌, 알레고리 픽션, 문화예술사, 동서 고전설화 비교, 문학정전, 번역 등이다. 주요 논저로 Aproximacion al decir narrativo castellano del siglo XV(카스티야 15세기 서사문학에 대한 접근, Delaware: Juan de la Cuesta, 2003), 『스페인 중세 알레고리문학』(2014), 『문화재명칭 스페인어표기 용례집』(2017), 「『칼릴라와 딤나』의 세상의 위험에 대한 알레고리에 대한 소고」(2016), 「『바에나 가요집』(1430년경)에 나타난 알레고리 문체와 정치성」(2016), 「스페인 중세설화의 정전성과 타자성」(2015), 「스페인 15세기 알레고리의 사실주의 경향」(2013), 「스페인 중세문학에 나타난 『판차탄트라』의 수용에 대한 소고」(2012) 등이 있다.
스페인 중세 문헌 학자이다. 스페인 마드리드 아우토노마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미국 델라웨어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스페인 언어, 문학, 문화를 강의하였다. 세계스페인어문학회(AIH)의 이사직(2010-2016)을 역임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스페인 중세 문헌, 알레고리 픽션, 문화예술사, 동서 고전설화 비교, 문학정전, 번역 등이다. 주요 논저로 Aproximacion al decir narrativo castellano del siglo XV(카스티야 15세기 서사문학에 대한 접근, Delaware: Juan de la Cuesta, 2003), 『스페인 중세 알레고리문학』(2014), 『문화재명칭 스페인어표기 용례집』(2017), 「『칼릴라와 딤나』의 세상의 위험에 대한 알레고리에 대한 소고」(2016), 「『바에나 가요집』(1430년경)에 나타난 알레고리 문체와 정치성」(2016), 「스페인 중세설화의 정전성과 타자성」(2015), 「스페인 15세기 알레고리의 사실주의 경향」(2013), 「스페인 중세문학에 나타난 『판차탄트라』의 수용에 대한 소고」(2012)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