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우언의 한 양상
Ⅰ. 머리말15
Ⅱ. 寓言에 대한 이해와 활용의 실제17
Ⅲ. 현실에 대한 풍자와 새로운 이념의 모색23
1. 부정적 현실과 세태에 대한 풍자 : 諷刺寓言의 세계25
2. 새로운 이념의 모색과 도가사상의 정립 : 哲理寓言의 세계29
Ⅳ. 맺음말38
??浮休子談論??을 통해 본 成俔의 君臣論
Ⅰ. 序論41
Ⅱ. 本論44
1. 君主論45
2. 臣僚論55
Ⅲ. 結論64
訥隱 李光庭의 우언 창작 방식
Ⅰ. 서론67
Ⅱ. 漫錄 ??亡羊錄??의 성격과 구성69
Ⅲ. 눌은 이광정의 우언 창작 방식74
1. 병렬과 유추 - 논리적 설득의 방식75
2. 역설과 반전 - 문학적 형상화의 방식85
Ⅳ. 결론91
韓國의 花卉類 寓言에 대한 一考察
Ⅰ. 머리말93
Ⅱ. 화훼류 우언의 창작과 「愛蓮說」94
Ⅲ. 한국 화훼류 우언의 두 유형98
1. 勸戒寓言98
2. 諧?寓言104
Ⅳ. 맺음말117
動物寓言의 傳統과 訟事型 寓話小說
Ⅰ. 문제의 제기119
Ⅱ. 動物寓言의 傳統과 訟事型 寓話小說의 관련성123
1. 寓言과 訟事 모티프123
2. 訟事 처리과정에서의 비리와 그에 따른 부당한 판결125
3. 언변 대결에 따른 작품의 확장130
4. 動物寓言과 寓話小說의 독자적 특성133
Ⅲ. 寓話小說의 형성과정 재론136
Ⅳ. 맺음말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