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년 넘게 지속된 팬데믹 상황은 이제까지 외면하고 지내온 사실들에 거대한 횃불을 들이댔다. 최악의 상황에서 누가 더 나쁜 상황에 몰리게 되는지, 우리가 이제껏 눈감아 온 것들이 무엇인지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전 세계적 베스트셀러 『세 갈래 길』의 저자 래티샤 콜롱바니는 팬데믹 직전, 프랑스 파리의 쉼터 ‘여성 궁전’이라는 곳에서 이를 먼저 깨달았다. ‘가난’이 여성에게 얼마나 잔인하게 작동하는지를 말이다. 그는 자신의 깨달음을 모두와 나눠야 한다는 소명으로 『여자들의 집』을 썼다.
『여자들의 집』은 막 마흔살 생일을 맞은 솔렌의 시선을 따라 이야기가 전개된다. 솔렌은 파리의 잘 나가는 변호사다. 그런데 어떤 계기로 ‘번아웃’ 진단을 받고, 정신과 의사의 추천으로 ‘대필 작가’ 자원봉사를 하러 간다. 그가 찾아간 곳은 집 없는 여성 400명이 모여 산다는 쉼터, 여성 궁전. 그곳에서 솔렌은 자신과는 전혀 다른 전쟁을 겪어온 여성들을 만난다. 그리고 교과서 또는 뉴스에나 나오는 단어라고 느끼던, 자신과는 관계없다고 생각한 ‘소외 계층’의 진짜 얼굴을 목격한다.
Author
래티샤 콜롱바니,임미경
1976년 프랑스 보르도 출생으로 루이 뤼미에르 영화학교에서 카메라, 조명, 특수효과에 대해 공부했고, 파리 국립 연극학교에서 연기를 배웠다. 프랑스에서 시나리오 작가이자 영화감독,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1998년 단편영화 [마지막 메시지Le Dernier Bip], 1999년 [메모리 칩Memoire de Puce]의 시나리오를 직접 쓰고 연출했다. 2002년에는 한국에서도 개봉한 오드리 토투 주연의 영화 [히 러브스 미A Lafolie... pas du tout]의 감독을 맡아 호평 받았고, 2008년에는 카트린 드뇌브 주연의 영화 [스타와 나Mes stars et moi]의 시나리오를 직접 쓰고 감독했다. 2017년, 첫 장편소설 『세 갈래 길La Tresse』을 발표하며 소설가로 데뷔했다. 『세 갈래 길』은 프랑스 사회에서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전 세계 27개국에서 출간되었다.
1976년 프랑스 보르도 출생으로 루이 뤼미에르 영화학교에서 카메라, 조명, 특수효과에 대해 공부했고, 파리 국립 연극학교에서 연기를 배웠다. 프랑스에서 시나리오 작가이자 영화감독,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1998년 단편영화 [마지막 메시지Le Dernier Bip], 1999년 [메모리 칩Memoire de Puce]의 시나리오를 직접 쓰고 연출했다. 2002년에는 한국에서도 개봉한 오드리 토투 주연의 영화 [히 러브스 미A Lafolie... pas du tout]의 감독을 맡아 호평 받았고, 2008년에는 카트린 드뇌브 주연의 영화 [스타와 나Mes stars et moi]의 시나리오를 직접 쓰고 감독했다. 2017년, 첫 장편소설 『세 갈래 길La Tresse』을 발표하며 소설가로 데뷔했다. 『세 갈래 길』은 프랑스 사회에서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전 세계 27개국에서 출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