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내재적 목적론

$36.72
SKU
9788984113893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4 - Thu 05/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1 - Thu 05/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2/10/25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88984113893
Description
목적론이 우리가 돌아가야 할 세계로 제시하고 있는 세계는 하이데거가 말하는 것처럼 단순소박한 세계이다. 목적론은 우리가 일상적인 삶에서 우리의 이해관심에 쫓겨서 많은 경우 망각하지만 우리의 마음이 정화되는 순간마다 언뜻언뜻 내비치는 인간과 자연의 친밀한 얼굴을 상기시키는 것을 목표한다.
Contents
제1장
들어가는 말
1. 근대적 존재이해의 궁극적인 귀결로서의 인간의 죽음
2. 근대적인 존재이해에 의한 목적론적인 존재이해의 철폐와 목적론적인 존재이해의 발전적 계승의 필요성
(1) 중세와 근대의 대립으로서의 목적론과 기계론의 대립
(2) 내재적 목적론과 외재적 목적론
(3) 새로운 존재이해의 필요성

제2장
근대적 존재이해의 본질적 성격
1. 근대과학의 본질적 성격
(1) 기능주의적 성격
(2) 주객 분리의 성격
(3) 유물론적 성격
2. 근대문명의 근본신념
(1) 근대적 인간관과 신관 그리고 윤리관
(2) 행 복 관
(3) 자 연 관
(4) 역 사 관

제3장
서양고중세의 실체존재론과 목적론
1. 서양고대의 실체존재론과 목적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1) 서양고중세철학의 근본개념으로서의 실체, 본질, 존재
(2) 실체존재론과 목적론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3) 일상어와 일상적인 직관에 입각한 철학으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존재론
(4)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질료와 형상, 가능태와 현실태
(5)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관 ―이성의 실현으로서의 행복
(6)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세계 전체의 목적론적 질서
2. 서양중세의 실체존재론과 목적론 ―토마스 아퀴나스를 중심으로
(1) 그리스철학의 신과 그리스도교의 신
(2) 토마스 아퀴나스의 목적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의 차이
(3) 존재자들의 궁극목적으로서의 본질실현과 신성의 표현
(4) 인간 이성의 최고의 활동으로서의 신에 대한 직관(Visio Dei)
(5) 존재자들 간의 목적론적 관계 83

제4장
목적론의 붕괴와 기계론의 대두
1. 명목론과 기계론적인 세계관의 대두
2. 자연의 초월적 성격의 부정
3. 목적론의 부정과 명목론
4. 자연지배에의 관심과 근대과학
5. 초자연적인 영역의 붕괴와 자기보존의 목적론

제5장
근대 체계존재론의 본질적인 내용과 위기
1. 실체존재론과 체계존재론
2. 데카르트와 체계존재론의 정초
(1) 수학적인 세계의 발견
(2) 수학적인 세계
(3) 데카르트 철학과 근대자연과학
3. 체계존재론의 위기
4. 근대문명의 위기와 새로운 존재이해의 필요성
5. 초월주의와 자연주의를 넘어서

제6장
근대에서의 목적론의 복권 ―칸트를 중심으로
1. 근대와 목적론의 복권
2. 칸트에서의 목적론의 복권
(1) 칸트의 이론이성 비판의 본질적 특성과 근대자연과학의 한계 규정
(2) 인간의 목적론적 성격 ―인간의 주체성과 자율성
(3) 유기체에 대한 칸트의 목적론적 이해
1) 자연목적이란 개념의 필연성
2) 자연목적의 특성
3) 유기체에 대한 목적론적 파악과 자연과학적 파악 사이의 관계
4) 자연목적과 물자체
(4) 칸트 목적론의 의의와 한계

제7장

내재적 목적론의 모색 ―그 정당성과 필연성
1. 근대적 존재이해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내재적 목적론
2. 목적론적인 세계로서의 생활세계
3. 인간 이외의 존재자들에 대한 목적론적 해석의 가능성과 필연성
4. 존재자 전체의 본질적 성격으로서의 자기성(自己性, Selbstheit)과 주체성
5. 서양고중세 형이상학의 영혼 개념이 갖는 의의
6. 과학적인 탐구에 대한 목적론적인 생활세계의 우위
(1) 과학적인 탐구의 전제로서의 목적론적인 생활세계
(2) 하이데거에서 과학에 대한 생활세계의 우위
7. 목적론적 생활세계의 우위에 대한 이의들의 검토
8. 목적론적 세계이해의 의의와 필연성
9. 목적론과 과학적 인과탐구의 관계
10. 과학적 탐구와 윤리적 성찰의 필연성

제8장
내재적 목적론의 본질적 내용
1. 근대적 주객 분리의 극복 ―의식이나 객체가 아니라 생명으로서의 현실
2. 의인관(擬人觀, Anthropomorphismus)으로서의 목적론과 인간중심주의의 극복
3. 인간중심주의의 극복으로서의 목적론적인 의인관
4. 근대과학과 과학이론에서 의인관의 배제
5. 인간과 무조건적인 가치로의 초월
6. 무조건적인 선의 표현으로서의 존재자들의 존재
7. 내재적 목적론에서 이성과 신
(1) 내재적 목적론의 이성관
(2) 내재적 목적론의 신관
(3) 목적론은 사변적이고 신비적인 이론인가?
8. 행복에 대한 목적론적 파악
9. ‘자연적인’이라는 말의 규범적 의미
10. 자기보존의 목적론의 극복
11. 사랑과 기쁨의 윤리학의 존재론적 기초로서의 내재적인 목적론
12. 내재적 목적론과 성스러운 차원의 회복 ―과학과 시
13. 내재적 목적론과 인간 존엄성의 정초
14. 존엄성의 위계질서
15. 생태위기와 목적론

제9장
목적론에 대한 반론의 검토
1. 반(反)목적론으로서의 텔레오노미(Teleonomie)
2. 반목적론으로서의 진화론에 대한 검토
(1) 진화론의 자기 모순적 성격
(2) 환원주의의 오류
(3) 우리 자신의 정체성 경험과의 모순
(4) 종개념에 대한 명목론적인 입장이 갖는 문제성
(5) 순환논증적인 성격
(6) 진화론의 세계 이해가 갖는 문제성
(7) 진화론의 한계와 의의 ―슈패만을 중심으로
(8) 생물학주의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
3. 진화론의 귀결로서의 쇼펜하우어의 염세주의
(1) 진화론과 쇼펜하우어의 철학
(2) 존재자의 근본적인 욕망으로서의 자기보존과 종족보존에의 욕망
(3) 물자체로서의 근원적인 의지
(4) 고통으로서의 삶과 세계
(5) 고통으로부터의 출구
(6) 쇼펜하우어의 철학이 갖는 이원론적 성격
(7) 쇼펜하우어의 이원론적인 입장과 행복관이 갖는 문제점
(8) 이원론의 극복을 위해서
(9) 쇼펜하우어 철학과 고전적 목적론
(10) 자기보존의 목적론의 귀결

제10장
목적론의 발전적 계승을 위해서
1. 니체와 목적론
(1) 니체의 목적론 비판에 대한 검토 ―니체는 목적론을 부정하는가 아니면 목적론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있는가?
(2) 목적론에 대한 니체의 비판이 갖는 성격
1) 니힐리즘이 대두하게 된 첫 번째 조건과 니체의 목적론 비판에 대한 검토
2) 니힐리즘이 대두하게 된 두 번째 조건과 니체의 목적론 비판에 대한 검토
3) 니힐리즘이 대두하게 된 세 번째 조건과 니체의 목적론 비판에 대한 검토
(3) 니체의 목적론 비판이 갖는 성격에 대한 검토
(4) 힘에의 의지가 갖는 목적론적 성격
1) 모든 가치의 원천으로서의 힘에의 의지
2) 힘에의 의지의 목적론적 성격
(5) 병적인 힘에의 의지가 나타나는 방식
1) 이원론적인 세계관과 순수정신의 설정
2) 자유의지와 순수 주체의 상정
(6) 자유의지와 주체개념에 대한 니체의 비판의 검토
(7) 목적론의 폐기가 아니라 목적론의 발전적인 계승으로서의 니체의 철학
1) 도덕에 대한 폐기가 아니라 도덕에 대한 전통적인 편견의 부정으로서의 니체의 철학
2) 진리에 대한 새로운 해석
3) 니체 철학의 목적론적 성격
(8) 니체와 역사의 목적론 ―니체와 헤겔의 상호보완 가능성
(9) 니체와 무조건적인 가치
(10) 니체와 목적론의 발전적 계승
2. 에리히 프롬과 목적론
(1) 에리히 프롬의 철학이 목적론의 전개에서 갖는 의의
(2) 현대사회와 현대인의 병적인 성격
(3) 규범적 인간주의로서의 프롬의 철학
(4) 에리히 프롬의 욕망론
1) 인간 삶의 근본조건과 인간의 근본적인 욕망
2) 인간만이 갖는 욕망의 의의
3) 미덕의 실현으로서의 행복
4) 인생의 목적으로서 근원적인 욕망의 생산적 실현
(5) 에리히 프롬에서 역사의 목적론
(6) 니체의 목적론과 프롬의 목적론의 비교
1) 니체와 프롬의 철학적 문제의식의 동일성 ―권위주의의 극복
2) 윤리학의 근본개념들에 대한 니체와 프롬의 입장의 비교
3) 고통에 대한 니체와 프롬의 입장의 비교
4) 신비체험에 대한 프롬의 견해와 니체의 영원회귀사상의 비교
(7) 하이데거와의 비교를 통한 프롬의 사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하이데거와 근본기분의 목적론
(1) 초월에의 열망과 근본기분
(2) 키르케고르의 실존분석과 근본기분
(3) 초기 하이데거와 근본기분의 목적론
1) 실존으로서의 인간과 개시성
2) 불안이란 근본기분과 초월의 사건
3) 근본기분과 현존재로서의 인간
4) 정신과 육체의 통일적인 존재로서의 인간과 근본기분
(4) 인간과 역사의 목적론적 구조에 대한 후기 하이데거의 견해
(5) 하이데거의 전통형이상학 해석에 대한 비판적 고찰
4. 롬바흐와 공-창조성(共-創造性, Kon-kreativitt)의 목적론
(1) 창조성의 철학으로서의 롬바흐의 철학
(2) 창조성의 존재론으로서의 구조존재론
(3) 자연의 공창조적 성격
(4) 기초사(Fundamentalgeschichte)
(5) 공창조성의 이론으로서의 가이아 이론과 칙센트 미하이의 창조성 이론 및 머레이 북친의 생태철학
1) 가이아 이론과 칙센트미하이의 창조성 이론
2) 머레이 북친의 생태철학
5. 한스 요나스의 목적론

제11장
맺으면서
1. 목적론의 의의와 인과적인 고찰방식과의 관계
2. 실체존재론과 본질실현의 존재론에 대한 비판의 검토
3. 목적론의 유형들과 각 유형의 정당성
4. 생태계 위기와 목적론

- 참고문헌
- 인명 색인
- 용어 색인
Author
박찬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