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은 불행하고 부모들은 억울한
안타까운 우리 교육!”
지금은 교육발 인구감소,
지방소멸을 끝낼 마지막 기회다!
입시만 있고 교육은 없는 나라, 잘못된 것을 모두가 알면서도 아무도 진실을 말하지 않는 우리 사회. 이 어려운 난제를 향하여 교육학자가 아닌 KAIST 공대 이승섭 교수(전 부총장)가 입을 열었다. 과학기술의 변화상을 누구보다도 맨 앞줄에서 보아온 KAIST 교수로서, 신입생들의 불행을 곁에서 보아온 입학처장 그리고 한국의 학부모로서 깊은 고민 후에 얻은 결론과 함께.
이미 시작된 새로운 세상 속에서 우리는 아이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중고등학교에서 정상적인 교육을 실행하려면 대학 입시는 어떻게 변해야 할까? 많은 정보를 알고 주어진 문제를 빨리 풀어야 앞서나가는 세상은 오래전에 분명히 지나갔다. 지난날 우리 교육은 빠른 추격자, 즉 패스트 팔로어라는 국가 상황에 발맞춰 나름대로 성공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오늘날 학생들은 학교를 전쟁터라 부르고, 부모들은 사교육으로 가정이 흔들린다. 대한민국은 어느새 퍼스트 무버가 되었지만, 이를 뒷받침할 창의적이고 건강한 교육은 없다. 우리는 ‘교육이 없는 나라’다.
저자는 모든 교육 문제의 출발점은 고3까지만 쓸데없이 어렵게 공부하고 이후는 학습 자체를 멈춰버리게 만드는 과열된 입시와 대학 서열화라고 짚어낸다. 1% 인재가 들어가서 2%, 3%가 되어 졸업하는 명문대는 진짜 명문대인가? 부모의 교육열이나 사교육 과잉은 잘못된 제도를 따라가는 결과이지 원인이 아니다. 저자는 현재의 학교가 식민지 시대나 다름없기에 교육 문제는 “나라 탓”을 하자고 한다. 그래야 달라질 수 있다.
‘교육이 살아 있는 나라’가 되려면? 궁극적으로 대학 차별화를 해서, 지방 대학을 포함한 여러 대학들이 나름의 장점을 키우게 하고 학생들도 각 대학에서 보람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교육 중심 대학과 연구 중심 대학으로 나누는 등 저자는 의대 쏠림 현상을 비롯해 서울대 ‘순혈주의’에 대한 해법, 최근의 반도체 학과 신설에 대한 우려까지 거론한다. ‘용을 잡고 싶은 아이’라는 소제목으로 시작해 한 권의 철학 에세이처럼 생각거리가 가득한 이 책의 서문에서 저자는 독자들의 비판과 지적을 환영한다고 썼다. 저자는 깊고 검은 웅덩이에 파문을 일으키려는 마음가짐으로 이 책을 썼다.
Contents
서문
1장 교육으로 일어선 나라
용을 잡고 싶은 아이 │ 안타까운 우리의 교육 현실 │ 교육으로 일어선 나라│
폴란드의 벽돌공과 유능한 입학처장 │ 저를 왜 뽑으셨나요?
2장 교육이 없는 나라
공부는 언제 가장 열심히 해야 하나? │ 억울한 아이, 억울한 부모, 억울한 사회 │
대학 입시에 목매는 나라 │ 명문고와 훌륭한 교장 선생님 │ SKY 캐슬 │
영재고와 알파고 │ 학교가 학원을 이길 수 없는 이유 │ 우리 교육은 아직도 식민지 교육 │
조상 탓, 나라님 탓 │ 우리가 꿈꾸는 교육 │ 개미와 베짱이 그리고 꿀벌
3장 미래를 위한 교육, 공부와 연구
연구란 무엇인가? │ 1492년, 1592년, 그리고 1543년 │ 공부를 잘하면 연구도 잘하나요? │
첨단을 하지 마세요 │ 4차 산업혁명과 우리 교육 │ 백주부 백종원과 개통령 강형욱 │
공장 같은 학교와 연구소 같은 학교
4장 대학의 혁신: 서열화에서 차별화로
대학의 위기 그리고 기회 │ 학벌 사회와 순혈주의 그리고 근친 교배 │
학벌 사회와 서열화된 대학, 그리고 가장 큰 피해자 │ 인생을 결정짓는다는 우리나라 대학 입시 │
대학의 차별화 제도 │ 서울대를 위한 고언 │ 교육 중심 대학 │ 연구 중심 대학과 혼합형 대학 │
지방 자치와 거점국립대 │ 지방 자치와 지잡대 │ 의과 대학
5장 교육으로 다시 일어서는 나라
바르게 서는 중고등학교 교육Ⅰ │ 바르게 서는 중고등학교 교육Ⅱ │
대학의 미래Ⅰ, 대학의 역할 │ 대학의 미래Ⅱ, 미네르바 대학 │ 대학의 미래Ⅲ, 인문학과 반도체
책을 마치며
Author
이승섭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서울대 기계설계학과 학사 그리고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 (Universiry of California, Berkeley)에서 석박사를 마쳤다. 삼성종합기술원 연구원과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교수를 거쳐 2003년부터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초소형 기계공학,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로 현재 KT 석좌교수이며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이다. KAIST에서 학생처장, 입학처장, 글로벌리더쉽센터장을 역임하면서 교육과 입시에 대한 관심과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KAIST 입학처장 시절 『KAIST는 어떤 학생을 원하는가』(공저)를 출판한 바 있다. 교수협의회장과 함께 교학부총장을 역임하였다
.
『교육이 없는 나라』는 대학 입시만을 목적으로 진행되는 우리 교육의 문제점과 그로 인한 사회적 어려움과 국가 경쟁력 상실에 대한 대안으로 대학의 차별화와 대학 입시의 정상화 그리고 궁극적으로 우리 교육이 나아갈 방안을 이야기하였다. “행복하고 강한 그리고 올바른 교육”을 주장한다.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서울대 기계설계학과 학사 그리고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 (Universiry of California, Berkeley)에서 석박사를 마쳤다. 삼성종합기술원 연구원과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교수를 거쳐 2003년부터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초소형 기계공학,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로 현재 KT 석좌교수이며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이다. KAIST에서 학생처장, 입학처장, 글로벌리더쉽센터장을 역임하면서 교육과 입시에 대한 관심과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KAIST 입학처장 시절 『KAIST는 어떤 학생을 원하는가』(공저)를 출판한 바 있다. 교수협의회장과 함께 교학부총장을 역임하였다
.
『교육이 없는 나라』는 대학 입시만을 목적으로 진행되는 우리 교육의 문제점과 그로 인한 사회적 어려움과 국가 경쟁력 상실에 대한 대안으로 대학의 차별화와 대학 입시의 정상화 그리고 궁극적으로 우리 교육이 나아갈 방안을 이야기하였다. “행복하고 강한 그리고 올바른 교육”을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