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순원과 순수문학 다시 읽기

$17.25
SKU
978898392730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11/30
Pages/Weight/Size 153*225*20mm
ISBN 9788983927309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이데올로기의 프리즘을 통해 본
한국 현대 ‘순수문학의 뿌리’
황순원과 그의 작품들


황순원의 소설에서 순수 관념이라는 내부성은 사회문화적인 맥락에 따라서 형성되고 채워지는 특성이 있다. 이 책은 한국문학에서 논쟁되는 순수/비순수의 이분법적인 인식과 차별을 비판적으로 해체하고 순수 관념의 구조를 그 속을 알 수 없는 미적 관념 또는 물 자체에 두지 않고 동시대의 사회 속에서 검토·성찰했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미가 있다. 앞으로 이러한 논의는 황순원을 비롯한 순수문학계의 주요 문인과 그 작품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그동안 한국문학의 순수문학은 순수하고 절대적인 미적 열정의 발현으로 이해되어온 경향이 있다. 그렇지만 순수문학이 한국문학사에서 출현·전개된 1930∼1940년대 시대·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세밀하게 검토하면 상당히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적이고, 정치적·민족주의적·권력대응적이며, 다양한 순수 관념들끼리 서로 경쟁하는 다층적인 것임이 확인된다. 이 저서는 이러한 순 수문학의 이면을 황순원의 문학을 통해 검토했다.

이 저서는 황순원의 1930∼40년대 문학에서 순수 관념의 형성과 전개 과정에 나타난 이데올로기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Ⅰ부에서는 주로 황순원의 1930∼40년대 문학적인 순수 관념을 사적(史的)으로 검토했다. Ⅱ부는 1930년대 초반 동요·동시와 두 권의 시집을, 그리고 Ⅲ부는 식민지기·해방기·국가 수립기에 발표된 소설들을 살펴본 구체적인 작품론이다._〈머리말〉에서
Contents
머리말 06

1부 순수라는 이데올로기와 그 다층성
1930년대의 황순원 동요·동시와 그 영향
순수문학의 기원과 형성을 중심으로 · 12
1930년대 황순원의 초기 시에 나타난 순수성 고찰 · 33
황순원의 초기 소설에 나타난 순수성 재고 · 51
해방기에 나타난 문학적인 순수 관념의 다층성 · 72

2부 1930년대 초중반 문학적 순수 관념의 형성: 동요·동시에서 시로
1930년대 초반의 황순원 동요·동시에 나타난 순수 관념의 특성· 96
황순원 시집 『방가』의 재탐색 · 116
황순원 시집 『골동품』의 동시적(童詩的)인 특성 · 137

3부 1937년 이후 문학적 순수 관념의 전개: 시에서 소설로
황순원의 식민지 시기 소설 속의 상층계급과 그 문화 · 158
황순원의 해방 이후 발표 작품에 나타난 좌우 이데올로기 대응 ·181
‘좌익’이라는 낙인, 순수라는 수의(囚衣)국가 건립 직후의 황순원 발표 소설을 중심으로 · 203
황순원 초기 소설 속의 순수한 아동 표상 · 227

참고문헌 248
부록 260
Author
강정구
춘천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문 학박사)을 졸업했다. 평론 「세상을 떠도는 목어들-차창룡의 시세계」와 시 「경마공원」을 발표하면서 평론과 시작 활동을 시작했다. 편운문학상 평론 부분 본상을 수상했다. 주요 논저로 「신경림 시의 서사성 연구」, 『문학과 서정의 이면』, 『신 경림과 민족문학 다시 읽기』, 『한국근현대문학의 민족 표상』, 『다문화시대의 민족문학』, 『산란하는 현실들』 등이 있다.
춘천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문 학박사)을 졸업했다. 평론 「세상을 떠도는 목어들-차창룡의 시세계」와 시 「경마공원」을 발표하면서 평론과 시작 활동을 시작했다. 편운문학상 평론 부분 본상을 수상했다. 주요 논저로 「신경림 시의 서사성 연구」, 『문학과 서정의 이면』, 『신 경림과 민족문학 다시 읽기』, 『한국근현대문학의 민족 표상』, 『다문화시대의 민족문학』, 『산란하는 현실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