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 연구로 세계적 명성을 얻은 니젤의 저서이다. 위대한 개혁자 칼빈의 전체 신학적 의도와 그 한계를 조감할 수 있는 양서로 칼빈의 사상과 그 사상적 배경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총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기독교의 끊이지 않는 연구과제인 하나님 인식, 삼위일체, 죄 등에 대하여 칼빈의 신학은 어떻게 규정하고 설명하는지에 대해 풀어놓았다. 칼빈의 신학을 공부하려는 목회자나 신학생이 교재로 삼기에도 좋을 것이다.
Contents
니젤의 연보
머리글
지은이 글
약어 표
제1장 연구사
제2장 하나님 인식
1. 신학과 성서
2. 성서와 성령
3. 자연적 하나님 인식에 관한 질문
제3장 삼위일체
1. 고대교회 교리에 대한 칼빈의 입장
2. 삼위일체론의 목적
3. 삼중성
제4장 창조와 섭리
1. 창조
2. 설비
제5장 죄
1. 원죄
2. 우리의 죄로서 아담의 죄
3. 실제적인 죄
제6장 하나님의 율법
1. 계약법으로서의 율법
2. 예배법으로서의 율법
3. 그리스도와 율법
4.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5. 자연법에 관한 질문
제11장 기도
1. 기도의 필연성과 본질
2. 그리스도와 기도
3. 성령과 기도
4. 기도의 장소로서의 교회
5. 기도의 목적
제12장 하나님의 영원하신 선택
1. 그리스도 안에서의 선택
2. 구원의 확신에 대한 질문
제13장 교회
1. 신앙인의 어머니로서의 교회
2.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3. 선택받은 이들의 모임으로서의 교회
4. 교회의 가시성과 비가시성
5. 참된 교회와 거짓 교회
6. 분열의 위험
7. 교회 치리
8. 교회 질서
9. 교회 예식
10. 교회의 위기
11. 투쟁하는 교회
제14장 성례전
1. 의미
2. 실체
3. 효력
4. 성령의 사역
제15장 서계통치
1. 하나님의 명령
2. 세계통치의 과제
3. 세계통치의 책임
4. 세계통치의 정당성
5. 세계통치의 형태
6. 세계통치에 대한 순정
7. 저항의 권리
제16장 칼빈의신학의 형식
Author
빌헬름 니젤,이형기,조용석
1903년 베를린에서 출생한 개혁파 신학자이다. 베를린대학, 튀빙겐대학을 거쳐 괴팅겐대학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30년 엘베르펠드신학교 교감을 역임하고 1934년부터 베를린 개혁파 신학교 교수로 있으면서 나치스 정권에 대한 투쟁의 기수로서 8회에 걸쳐 투옥당하다가 마침내 1940년 비밀경찰에 의해 추방당했다. 1946년부터는 뷔페르탈신학교에서 교수로 봉직하면서 쇨러 개혁교회 목사로 목회하였다. 전후 에큐메니칼 운동의 지도자로서 독일 개혁파교회 연맹 위원장, 독일 복음주의교회 평의원, 세계교회협의회 중앙위원, 세계개혁교회연맹 의장을 지내고 현재 은퇴하였다. 저서로는 『칼빈의 성찬론』(1930), 『개혁파교회란 무엇인가?』(1934), 『복음과 교회』(1953), 『칼빈 저작선집』(Ⅰ-Ⅴ권, 1926-36)이 있다.
1903년 베를린에서 출생한 개혁파 신학자이다. 베를린대학, 튀빙겐대학을 거쳐 괴팅겐대학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30년 엘베르펠드신학교 교감을 역임하고 1934년부터 베를린 개혁파 신학교 교수로 있으면서 나치스 정권에 대한 투쟁의 기수로서 8회에 걸쳐 투옥당하다가 마침내 1940년 비밀경찰에 의해 추방당했다. 1946년부터는 뷔페르탈신학교에서 교수로 봉직하면서 쇨러 개혁교회 목사로 목회하였다. 전후 에큐메니칼 운동의 지도자로서 독일 개혁파교회 연맹 위원장, 독일 복음주의교회 평의원, 세계교회협의회 중앙위원, 세계개혁교회연맹 의장을 지내고 현재 은퇴하였다. 저서로는 『칼빈의 성찬론』(1930), 『개혁파교회란 무엇인가?』(1934), 『복음과 교회』(1953), 『칼빈 저작선집』(Ⅰ-Ⅴ권, 1926-36)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