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 안전성확보라는 관점에서 한국의 식품위생법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또 어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이에 대한 해결책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분석하고 있는 연구보고서이다. 현행 식품위생법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지만 그 가운데에서도 동법의 위반행위에 대해서 지나치게 엄격한 제재를 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행정지도와 같은 부드러운 비권력적 행정수법을 활용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Contents
제1장 연구의 목적과 범위
Ⅰ. 연구의 목적
Ⅱ. 연구의 범위
Ⅲ. 이론적 근거
제2장 의용법제의 형성과 전개
Ⅰ. 메이지시대
Ⅱ. 다이쇼(大正) 쇼우와(昭和)전기(前期)
Ⅲ. 쇼우와(昭和)후기(後期)
Ⅳ. 일본의 식품위생법제에 있어서 규제구조의 특징
제3장 한국식품위생법제 약사(略史)
Ⅰ. 식민지시대
Ⅱ. 해방후 식품위생법 제정전
Ⅲ. 식품위생법 제정 후
Ⅳ. 일본법제의 수용현황과 문제점
제4장 식품위생법상 규제의 구조
Ⅰ. 식품법의 일반원리
Ⅱ. 규제의 내용
Ⅲ. 현행 식품위생정책의 방향
Ⅳ. 한국식품위생법제에 있어서 규제구조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