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의 파고는 많은 아시아의 개발도상국과 체제전환국들의 법의 영역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다 주었으며, 동북아 중심국가를 지향하는 우리나라 역시 이러한 흐름에 직접적으로 속해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현재 법제교류지원사업에 대한 기초연구가 미흡한 상황으로 국가 위상 제고와 국제협력 강화, 한국법제의 세계화라는 목표를 이루기에는 넘어야할 많은 벽들이 있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법제교류지원에 관한 효율적 운영방안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Contents
국문요약
Abstract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제2장 서구의 「법과 개발」운동
제1절 개념
제2절 지원 내용
제3절 기초이론
제4절 실증연구방법론
제5절 과제와 전망
제3장 일본의 법정비지원사업
제1절 개념과 특징
제2절 현황
제3절 이론화 방향
제4절 실증연구방법론
제5절 과제와 전망
제4장 우리나라 법제교류지원사업의 이론 및 방향성의 정립
제1절 개념정립과 사업의 필요성
제2절 현황
제3절 이론화 방향
제4절 방향성에 대한 정립의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