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인증은 안전성 확보, 거래의 효율화 등 다양한 정책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품이나 설비가 만족시켜야 할 기준과 당해 기준 적합성을 확인하는 방법을 법령에서 정하는 제도이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소비자의 권익 보호, 환경 보호, 안보 등을 목적으로 독자적인 인증제도를 마련하여 무역상 기술장벽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인증은 상품 수출 시 일종의 통관보증서로 작용하기도 한다.
국내 인증제도에는 강제인증과 임의인증이 있으며 각 부처별로 개별법령에 의해서 다수의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인증제도의 분산과 인증기관의 난립으로 부실 인증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며, 소비자에게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인증기준 및 인증기관의 인정기준이 국제적 규격에 부합되지 않아 인증결과에 대한 국제적 신뢰성이 저하되고, 외국과의 다자간 협의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다수의 개별법령에 분산되어 있는 기준인증제도의 운용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국제 규격에 적합한 기준인증제도 수립을 위한 법제정비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안전사회 기반 구축 및 국내 제품의 국제적 경쟁력 강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Contents
요약문
Abstrat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기준인증제도의 개념과 운용현황
제1절 기준인증제도의 개념요소
제2절 인증제도의 법적 구조
제3절 인증제도 관련 정책동향
제4절 현행법령상 기준인증제도의 운영현황
제5절 현행법령상 인증제도의 문제점
제6절 소결
제3장 주요 외국의 인증제도와 관련법령
제1절 세계적 동향
제2절 기준인증 관련 국제규범
제3절 주요 외국의 기준인증제도 비교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