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기본적으로 ‘국제사회의 이해’ 또는 ‘국제기구의 이해’를 위한 강의안으로 출발하여 자료와 관련 이미지 등을 모은 것이다. 즉, 강의교재용으로 작성된 것이며 다소 설명적이고, 국제사회나 국제기구의 역사와 현황 및 특징을 소개하는 의도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학문적으로 치열한 방법론을 제시하거나 가설적 내용을 주장하는 학문성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것이다. 내용의 일정 부분은 부산외대 교양과정이나 외교학과 전공과정에서 강의한 국제사회의 이해, 사회국가세계,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등에서 강의안으로 작성한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Contents
제1장 근대 국제사회의 형성과 전개 12
1. 근대 국제사회의 형성 12
2. 근대 국제사회의 완성 14
3. 제국주의적 경쟁의 전개와 세계대전 16
4. 국제사회의 이론적 특징 19
5. 요지 : 근대 국제사회 22
제2장 전후 국제질서와 국제기구의 확산 25
1. 제2차 세계대전 전후의 국제질서 25
2. 얄타회담과 전후 국제질서 26
3. 전후 미국의 외교정책 27
4. 국제법의 발달 28
5. 전후 국제협조체제 : 유엔과 브레턴우즈체제 30
제3장 전후 냉전체제의 전개 32
1. 전후 미?소의 대립과 냉전 32
2. 냉전체제의 전개 36
3. 전후 냉전의 원인 40
4. 냉전과 한반도 41
제4장 냉전체제의 붕괴와 21세기 국제사회 43
1. 냉전체제의 붕괴 43
2. 고르바초프의 소련 개혁 46
3. 탈 냉전기의 전개 48
4. 요지 : 냉전의 변용과 21세기 국제사회 50
제5장 국제사회에서의 분쟁과 전쟁 54
1. 전쟁의 원인 54
2. 이익의 충돌 55
3. 영토분쟁 55
4. 경제적 분쟁 59
5. 종족 · 민족분쟁 59
6. 분쟁의 제어수단 60
제6장 국제기구의 확산과 글로벌 거버넌스 61
1. 국제기구 개관 61
2. 국제질서와 글로벌 거버넌스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