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론적 인류학, 신유물론, 동아시아 사유의 관점에서
인류학자가 ‘불편하게 하기’의 방식으로 말하는 인류세의 기후위기
존재론적 전환과 동아시아 사유의 연결을 통해 기후위기를 바라본 최초의 책. 『몸이 기후다』는 기후위기를 야기한 분리분절의 생각(인간-자연 이원론 같은)이 우리의 일상적 말과 행동에 관철되어 있다는 것을 드러내 보인다. 자연, 환경, 기후, 탄소, 기온 등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말들과, 그에 연결된 실천들에 이미 들어와 있는 기후위기의 문제를 말한다. 이 책은 멀리 가지 않고 동아시아 그리고 한국에서 기후위기를 이야기한다. 인류학의 시선으로 기후위기를 바라보며, 기후를 대하는 우리의 생각의 방식, 몸과 기후의 관계, 나아가 기후위기 시대에 무엇을 할 것인가를 모색한다.
장기간 몸과 의료에 대한 현장연구를 진행해온 인류학자인 김태우 경희대학교 교수는 존재론적 인류학과 연결하여, 기후위기 문제를 풀어갈 수 있는 실마리를 몸에서 찾는다. 기후위기를 유발하는 행위자이면서 그 기후위기가 몸의 위기로 드러나는 바로 그 몸에서 희망을 찾는다.
Contents
추천의 글
들어가며: 몸, 얽힘, 기후
1장 ‘환경,’ 몸-기후, 불편함의 인류학
벨리즈의 조각 잠
인류학, 팔 할이 불편함
말뿐이지 않은 말
‘환경’의 반환경주의
몸과 말의 경계를 넘어
존재론적 인류학과 비근대적 사유
2장 기후위기 생략하기
탄소집착 문명
인류세, 쓰레기의 시대
쓰레기가 말하는 시대
지구비등화
기후변화의 치외법권지
지나가는 기후위기
지구에 땅 부쳐 먹는 인간
인트라-액션과 상응
말 안 되는 시대에 소환되는 말들
응함이라는 실재
3장 자연은 하나가 아니다
자연(自然)과 자연(nature)
특별한 동음이의어
번역이 아니다
‘자연(nature)’의 탄생
순수한 자연은 없다
연결되어 있는 자연
‘도시’라는 말과 물질
변화하는 자연
자연이 바뀌면 세계가 바뀐다
4장 연결의 기후
기후의 의미
기후의 조건
탄소, 기온 집중
섭씨 1.5도의 무게
연결의 기후위기
사회기후재난, 복합명사가 필요한 시대
인류세의 기후는 여름
‘선진국’은 없다
5장 몸의 기후, 기후의 몸
기후라는 연대의 힘, 그 힘을 흔드는 위기
고기 좀 먹어본 사람들이 되다
중심의 인간과 대상
‘몸’이라는 거멀못
당신이 배출하는 것이 바로 당신이다
기후의 몸
취약한 방벽들
기후위기, 몸의 위기
몸-기후 얽힘
관계를 앞에 둘 때
기후위기 시대의 중의법
나가며: 쓰레기통 앞에서 머뭇거리기
참고문헌
Author
김태우
연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버펄로)에서 문화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의료인류학자로서 사회문화와 의료의 상호 관계, 의료에 내재한 존재론 및 인식론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의학 병명의 현상학: 인류학적, 현상학적 접근」「비교불가문화연구의 인류학: 생의학과 한의학, 인식과 실천의 분지 읽기」「인터뷰 없는 현지조사: 동아시아 의료지식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Cultivating Medical Intentionality: The Phenomenology of Diagnostic Virtuosity in East Asian Medicine」「치유로서의 인간-식물 관계: 존재론적 인류학으로 다시 읽는 동아시아의학 본초론」 등이, 함께 엮고 쓴 책으로 『의료, 아시아의 근대성을 읽는 창』이 있다.
연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버펄로)에서 문화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의료인류학자로서 사회문화와 의료의 상호 관계, 의료에 내재한 존재론 및 인식론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의학 병명의 현상학: 인류학적, 현상학적 접근」「비교불가문화연구의 인류학: 생의학과 한의학, 인식과 실천의 분지 읽기」「인터뷰 없는 현지조사: 동아시아 의료지식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Cultivating Medical Intentionality: The Phenomenology of Diagnostic Virtuosity in East Asian Medicine」「치유로서의 인간-식물 관계: 존재론적 인류학으로 다시 읽는 동아시아의학 본초론」 등이, 함께 엮고 쓴 책으로 『의료, 아시아의 근대성을 읽는 창』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