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거, 제자들 그리고 나치

아렌트, 뢰비트, 요나스, 마르쿠제가 바라본 하이데거
$23.76
SKU
978898222686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25 - Thu 05/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2 - Thu 04/2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3/05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82226861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대사상가 하이데거의 나치 참여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한나 아렌트, 카를 뢰비트, 한스 요나스, 허버트 마르쿠제
유대인 제자들의 대응과 그들이 발전시킨 사상을 통해
논란의 중심에 선 하이데거 사상을 조명한 최초의 책!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철학자이자 한때 나치에 참여한 하이데거만큼 논란의 중심에 선 사상가도 없을 것이다. 하이데거 철학 자체를 나치즘과 전적으로 무관한 것으로 보는 학자도 있지만, 하이데거 철학은 그의 나치 참여를 배제하고서는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하이데거, 제자들 그리고 나치』는 제2차 세계대전 전후 하이데거와 유대인 제자들의 관계를 통해 하이데거의 나치 참여와 사상을 조명한 최초의 책이다. 하이데거의 유대인 제자들로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철학자인 한나 아렌트, 카를 뢰비트, 한스 요나스, 허버트 마르쿠제에게 하이데거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는 동시에 이들이 하이데거 사상과 어떤 식으로 대결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하이데거의 제자이자 애인이었던 한나 아렌트는 위대한 정치사상가로 명성을 떨쳤다. 카를 뢰히트는 독일의 권위 있는 역사철학자가, 한스 요나스는 최고의 생태철학자가 되었다. 허버트 마르쿠제는 마르크스 이론가이자 신좌파의 대표적 사상가로 이름을 날렸다.

왜 이들은 위대한 사상가이면서도 하이데거의 생각과 독일의 미래를 미리 알아채지 못했을까? 그들의 철학이 하이데거 철학을 반영할까 아니면 거부할까? 홀로코스트 이후 독일의 지적 전통을 어떻게 재평가할 것인가? 하이데거를 연구하는 데 평생을 바친 리처드 월린 교수는 유대인들이 유럽 사회에 완전히 동화된 직후에 가장 큰 재앙을 경험한 아이러니한 상황에 이와 같은 질문을 던짐으로써 사상과 정치의 관계 및 하이데거 철학의 현대적 의의를 제시한다.
Contents
제2판 머리말
제1판 머리말
프롤로그: 첼란의 시 「죽음의 푸가」와 「토트나우베르크」

1장 도입부: 하이데거의 제자들이 지닌 딜레마
유대인 제자로서의 딜레마/하이데거의 몰락/하이데거의 돌파구

2장 독일에 동화된 유대인: 정체성 혼란과 시련
유대인의 정체성/동화된 유대인, 불길한 징후와 뒤늦은 깨달음

3장 한나 아렌트: 히틀러의 평범한 사형집행인에 대한 기능주의적 해석의 위험성
전체주의에 대한 해명/위험한 관계/부정적 공생관계/사랑과 실존/라헬 파른하겐: 파브뉴에서 파리아로/하이데거와의 재회와 화해/히틀러의 평범한 사형집행인/기능주의에 대한 재접근/행위 지향적 이론의 반근대주의적 뿌리/정치적 실존주의

4장 카를 뢰비트: 근대 니힐리즘에 대한 스토아주의적 답변
유럽의 니힐리즘/세계와 인간세계의 구분/철학적 도제 기간/우파 혁명/카를 슈미트를 비판하다/하이데거, 로고스로부터 후퇴하다/뢰비트, 역사로부터 후퇴하다

5장 한스 요나스: 인간과 자연의 공생을 추구한 생철학자
운명으로서의 존재/때 이른 성찰/니힐리즘과 그노시스/과학, 그리고 실존론적 고향 상실/생명의 원칙/기술의 위협과 공포의 발견술/정치적 수호자의 위험성/전제정치의 장점/홀로코스트 이후의 신학/하이데거 되돌아보기

6장 허버트 마르쿠제: 실존론적 마르크스주의로부터 좌파 하이데거주의로
마르크스주의의 위기/구체철학/존재론, 삶, 그리고 노동/마르크스로부터 실러에게로/하이데거, 철학을 배반하다/좌파 하이데거주의

7장 노동이 자유롭게 하리라: 독일적인 ‘방식’의 철학자, 하이데거
보편 개념에 대한 거부감/역사성/게르만적인 ‘세계-내-존재’/논리학과 민족/노동 계급/노동과 본래성/비은폐성으로서의 노동

8장 남은 이야기: 『존재와 시간』, 실패한 걸작인가?
반근대주의와 ‘새로운 삶’/가톨릭과의 단절/현상학과의 만남/프로네시스와 실존/1927년, 불가사의한 해

결론
옮긴이 해설
미주 및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리처드 월린,서영화
뉴욕시립대 대학원 역사학과 비교문학 교수. 저서로 『존재의 정치학(The Politics of Being)』, 『하이데거 논쟁(The Heidegger Controversy)』(편저), 『문화 비평의 용어들(The Terms of Cultural Criticism)』 등이 있다. BBC 다큐멘터리 <하이데거: 삶을 위한 디자인(Heidegger: Design for Living)>의 학술 컨설턴트로 활동했으며, <뉴리퍼블릭(The New Republic)>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1960년대 서방에서의 마오쩌둥 정치사상의 수용에 관한 그의 연구인 『동방으로부터의 바람(The Wind from the East)』을 2012년 최고의 역사책 중 하나로 선정했다.
뉴욕시립대 대학원 역사학과 비교문학 교수. 저서로 『존재의 정치학(The Politics of Being)』, 『하이데거 논쟁(The Heidegger Controversy)』(편저), 『문화 비평의 용어들(The Terms of Cultural Criticism)』 등이 있다. BBC 다큐멘터리 <하이데거: 삶을 위한 디자인(Heidegger: Design for Living)>의 학술 컨설턴트로 활동했으며, <뉴리퍼블릭(The New Republic)>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1960년대 서방에서의 마오쩌둥 정치사상의 수용에 관한 그의 연구인 『동방으로부터의 바람(The Wind from the East)』을 2012년 최고의 역사책 중 하나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