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평의 아포리아』는 저자가 문학이라는 바다를 오랜 시간 바라본, 때로는 물안경 하나만 가지고 그 심연 속에 잠수해본 기록의 일부다. 1부는 주제론에 해당하는 글들로, 여기에서는 우리 시대 한국문학의 가장 핵심적인 과제에 도전해본다. 이 과제에는 재현을 둘러싼 여러 가지 난제들, 독자와의 소통을 위한 새로운 방안, 애도되지 않은 역사의 파국적 귀환, 말년성의 미학적 형상화 등이 포함된다. 2부는 작가론에 해당하는 글들로, 1950년대에 등단한 작가부터 2010년에 등단한 작가까지 총 일곱 명의 소설가(정연희, 전상국, 최윤, 하성란, 노정완, 해이수, 채영신)를 통해 지난 반세기 한국문학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 노력의 결과물이다. 3부에서는 최근 한국소설이 가닿은 성취를 대변할 수 있는 소설들(『철도원 삼대』, 『악어』, 『총구에 핀 꽃』, 「희박한 마음」, 『일곱 해의 마지막』, 「휴가 중인 시체」, 『탑의 시간』)을 자세하게 비평한다. 4부에서는 최근 한국문학이 낳은 비평들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비평의 맥락을 조망한다. 대상이 된 비평들은 통일을 지향하는 실천적 사유, 창발적 문학 탐구의 전범, 리얼리즘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성찰, 역사 · 유물론적 문학 이론의 계보 등을 탐색한 것들이다.
Contents
1부 재현과 환기
우리 시대 재현의 세 가지 빛깔 ―정이현, 최민우, 손보미
아주 가까운 것과 아주 먼 것 ―장류진, 최진영
과거가 돌아오는 방식 ―박형서, 이혜경, 황정은
21세기 한국문학과 강남 ―김경욱, 정찬, 김민정, 정용준
공존과 고립의 이상한 이분법 ―서장원, 임현, 김연수
파국으로서의 말년성 ―황석영, 김훈
2부 한국문학의 수호성인들
인간을 넘어, 참된 존재로 ―정연희 소설에 대하여
사라지지 않는 아베를 위하여 ―전상국 소설에 대하여
타자와 함께 사는 법 ―최윤 소설에 대하여
선과 벽의 세계 ―하성란 소설에 대하여
가족이라는 폐허의 형식 ―노정완 소설에 대하여
산다는 것의 위대함 ―해이수 소설에 대하여
삶의 심연에서 건져낸 웃음 ―채영신 소설에 대하여
3부 새로운 가능성의 근거
한국 현대 노동자의 삶과 희망의 근거 ―황석영, 『철도원 삼대』
테러 없는 세상을 향한 꿈 ―우한용, 『악어』
노고지리의 자유를 위하여 ―이대환, 『총구에 핀 꽃』
트라우마가 된 여성(들)만의 삶 ―권여선, 「희박한 마음」
침묵으로 쓰는 시, 그리고 삶 ―김연수, 『일곱 해의 마지막』
죽음(충동)이라는 그 거대한 입 ―김중혁, 「휴가 중인 시체」
에로스 전말기 ―해이수, 『탑의 시간』
1976년 인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를 받았다. 현재 숭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평론집 『단독성의 박물관』, 『끝에서 바라본 문학의 미래』, 『현장에서 바라본 문학의 의미』,『여시아독』, 『문학과 애도』, 『재현의 현재』, 『촛불과 등대 사이에서 쓰다』 등이 있고, 연구서로 「한설야와 이데올로기의 서사학」, 「한국 프로문학 연구」, 「한국 현대소설의 환상과 욕망」, 「다문화 시대의 한국소설 읽기」, 「한국 현대문학의 공간과 장소」, 「한국 현대문학의 개인과 공동체」, 「명작의 공간을 걷다」 등이 있다.
1976년 인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를 받았다. 현재 숭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평론집 『단독성의 박물관』, 『끝에서 바라본 문학의 미래』, 『현장에서 바라본 문학의 의미』,『여시아독』, 『문학과 애도』, 『재현의 현재』, 『촛불과 등대 사이에서 쓰다』 등이 있고, 연구서로 「한설야와 이데올로기의 서사학」, 「한국 프로문학 연구」, 「한국 현대소설의 환상과 욕망」, 「다문화 시대의 한국소설 읽기」, 「한국 현대문학의 공간과 장소」, 「한국 현대문학의 개인과 공동체」, 「명작의 공간을 걷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