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을 수정?보완하여 기후변화 취약성 정도를 재측정하고, 기후변화 취약계층 및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한 심층분석(일반인 대상, 전문가 대상)과 우리나라 중앙정부 및 시도 단위 지방정부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평가 등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정부, 시도, 지자체 단위에서의 건강위험요인별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모색한다
Contents
Abstract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제2장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취약성 심층분석
제1절 실태 조사 개요
제2절 가구 실태조사 설문결과 분석
제3장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제1절 신뢰도와 타당도 개요
제2절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지표의 신뢰도/타당도 분석
제3절 주민조사결과
제4절 전문가(실문자) 조사결과
제5절 소결
제4장 기후변화 건강취약성 지표
제1절 특정질환의 시공간분석
제2절 기후변화 건강취약성 지표 산출과정
제3절 2010년 기준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지표
제5장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
제1절 평가 방법
제2절 국내외 적응정책 평가 사례
제3절 건강분야 기후변화 적응대책 사례
제4절 국내 지자체별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 사례 및 평가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안
제1절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지표
제2절 기후변화 적응 인벤토리(Inventory) 구축
제3절 기후변화 적응대책 제안
제4절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