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지자체 단위에서 실시되는 주요 시책들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를 통해 도시계획, 환경, 주거, 교통 등 다양한 정책들을 선정하여 각 정책에 대한 긍정적 건강영향을 강화하고 부정적 건강영향을 예방하거나 최소화 하는 대안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중앙정부부처에서 지자체 보건사업 등의 평가시 건강영향평가 실시 여부를 주요 평가항목으로 고려 할 수 있도록 중앙부처 공무원의 협조를 얻어, 보다 많은 지자체에서 건강영향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사업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Contents
Abstract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환경보건정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접근 방법
제1절 배경
제2절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ment, EIA)
제3절 건강영향평가와 타영향평가의 관계
제4절 통합환경보건/건강영향평가
제3장 환경보건정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외국사례
제1절 미국
제2절 호주
제3절 뉴질랜드
제4절 독일
제5절 외국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제4장 환경보건정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국내 사례
제1절 방역소득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의 필요성
제2절 방역소득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절차 및 방법
제3절 건강영향평가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