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성의 가치의 등장배경, 관련친서민정책 현황과 함께 사회철학적 이론과 정의론의 관점에서 공정사회 구현의 실마리를 찾고, 공정성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와 사회불평등과 양극화 실태를 살펴본다. 또한 사회 역동성차원에서의 공정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하고, 공정한 사회구축을 위한 지속가능한 한국사회의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Contents
Abstract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제2장 친서민정책과 사회정의론
제1절 정부의 친서민정책
제2절 복지국가와 정의론
제3장 사회공정성과 친서민정책에 대한 국민의식 실태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사회공정성에 대한 국민의식 실태
제3절 친서민정책에 대한 국민의식 실태
제4장 근로계층의 사회공정성 실태 평가
제1절 분석 개요
제2절 근로계층의 빈곤 실태 및 추이
제3절 근로계층의 사회공정성 실태 평가
제5장 근로계층 노동이행의 사회공정성 실태 평가
제1절 분석 개요
제2절 근로계층의 노동이행 실태
제3절 근로계층 노동이행의 사회공정성 실태 평가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
제2절 공정한 사회를 위한 친서민정책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