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적인 관점에서 저출산과 빈곤의 세습을 동시에 극복할 수 있는 아동 관련 지원 프로그램의 발전방향과 저소득층의 능력 배양을 위한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이 제시되었다. 보다 거시적인 차원의 연구로 제3의 자본으로 평가되고 있는 사회적 자본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지원방안에 대해 정책방안을 제시하였고, 사회의 안정성 지표가 될 수 있는 중산층의 규모의 변화를 분석하고 중산층을 두텁게 할 수 있는 정책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Contents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제2장 OECD 국가의 보건복지 예산 구성
제3장 미국 보건복지 예산 구성
제1절 부분별 예산
제2절 복지부문 예산 내역
제4장 일본 보건복지 예산 구성
제1절 일본 후생노동성 일반회계 예산
제2절 일본의 사회서비스 정책현황
제5장 한국 보건복지 예산 구성
제1절 일반회계 예산 개요
제2절 사회보장 관련 회계 예산 개요
제3절 한국의 사회서비스 정책현황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국가간 예산항목의 비교를 통한 시사점
제2절 우리나라의 재정건전성과 사회적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