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

$22.68
SKU
978898160500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2/14
Pages/Weight/Size 188*257*30mm
ISBN 9788981605001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본 교재는 사회복지사로서 개인, 가족, 집단 등 다양한 클라이언트 체계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총 12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장은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전문적 기반에 대해 다루었고, 제2장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 체계를 지원함에 있어 꼭 필요한 대화 기술인 동기면담을, 제3장부터 제7장까지는 인지행동모델, 과제중심모델, 임파워먼트실천, 해결중심모델, 위기개입모델 등 주요 개입 모델들을, 제8장부터 제10장까지는 집단사회복지실천에 대해, 제11장과 제12장은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장마다 예비 사회복지사로서의 자기 성찰과 현장에서의 적용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토의, 사례 제시와 연습 활동 등을 제시하였고, 문제 풀이란을 통해 학습자가 배운 내용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코로나 19 사태를 겪으며 우리 사회뿐 아니라 사회복지현장 또한 여러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현장에 진입하는 신입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 역시 다양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 것은,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가장 중요한 도구는 사회복지사 자신이며,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들을 지원하며 또 클라이언트와 함께 성장해 나아가는 의미 있는 과정을 만들어 간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학생들이 사회복지실천현장에 한 걸음 더 다가서며 예비 사회복지사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본 교재가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소망한다.
Contents
Part 1 사회복지실천기술 개관

CHAPTER 1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기반 15

1. 개요 16
2. 사회복지실천의 지식적 기반 18
1) 사회복지실천 지식18 2) 사회복지실천 지식의 차원 19
3. 사회복지실천기술 22
1)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 22 2)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유형과 내용 23
4.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가치와 윤리 27
1) 인권기반 사회복지실천 27 2)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가치와 윤리 32
3) 사회복지사의 윤리 기반 실천35 4) 사회복지사의 자기 이해 38

Part 2 사회복지실천모델의 이해

CHAPTER 2 동기면담 47

1. 개요 48
2. 주요 개념 및 특성 49
1) 동기면담의 정의 49 2) 동기면담의 두 가지 요소 51 3) 동기면담의 기본정신 52
4) 동기면담의 네 가지 안내 원리 54
3. 주요 실천과정과 기법 57

CHAPTER 3 인지행동모델 73
1. 개요 74
2. 주요 개념 및 특성 74
1) 이론적 배경 74 2) 주요 특징과 실천 원칙 77
3. 주요 실천과정과 기법 80
1) 주요 목표 80 2)주요 실천과정80 3)주요 실천 개입 82
4. 사례 연습 95
1) 주요 문제95 2) 개입 96

CHAPTER 4 과제중심모델 101
1. 개요 102
2. 주요 가정 및 특성 102
1) 주요 가정102 2) 과제중심모델의 특성 103
3. 주요 실천과정과 기법 104
1) 시작하기 105 2) 1단계 : 표적 문제 규명 106 3) 2단계 : 계약하기 107
4) 3단계 : 실행 109 5) 4단계 : 종결 109
4. 사례 109
1) 주요 문제 110 2) 개입 단계 111

CHAPTER 5 임파워먼트실천 117
1. 개요 118
2. 주요 개념 및 특성 118
1) 임파워먼트의 개념 118 2) 기본 가정 120 3) 주요 목표 122
3. 주요 실천과정과 기법 123
1) 주요 실천과정 123 2) 주요 실천 기법 128
4. 사례 142
1) 빈곤 한부모 여성을 위한 임파워먼트 접근 실천 사례 연구 142
2) 국내 정신장애인 당사자의 권익옹호 활동 사례 144
3) 정신장애인 당사자 주도의 영화제작 145

CHAPTER 6 해결중심모델 153
1. 개요 154
2. 주요 개념 및 특성 154
1) 주요 가정 154 2) 기본 관점 156 3) 주요 목적 157
3. 주요 실천과정 159
1) 첫회기 면담 시 주요 과업 159 2) 첫 번째 면담이후 주요 과업 164
4. 주요 실천 기법 164
5. 사례 171
1) 알코올중독 사례 171 2) 신체화 증상을 가진 초등학생에 대한 해결중심 단기상담 172
3) 대학생을 위한 해결중심 단기 집단상담 175

CHAPTER 7 위기개입모델 185
1. 개요 186
2. 주요 개념 및 특성 186
1) 위기의 개념 186 2) 위기의 단계 187
3. 주요 실천과정과 기법 189
1) 위기개입의 목표 189 2) 위기개입의 원칙 189 3) 위기개입모델 190
4) 주요 실천 기술 192
5) 다양한 위기개입의 실제 200
4. 사례 209
1) 독거노인 자기방임 사례 209


Part 3 집단사회복지실천

CHAPTER 8 집단사회복지 실천의 이해 217

1.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개념 218
1)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정의 218 2) 집단사회복지실천의 목적 219
3)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초점 영역 219 4)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원칙 220
5)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구성 요소 222
2. 집단사회복지실천모델 223
1) 사회적 목표 모델 223 2) 상호작용 모델 224 3)치료 모델 225
3. 집단의 유형 227
1) 치료집단 228 2) 과업집단 231 3) 자조집단 232
4. 집단의 치료적 효과와 집단역동 234
1) 집단의 치료적 효과 234 2) 집단과정과 집단역동 237

CHAPTER 9 집단발달단계별 사회복지실천 249
1. 준비단계 250
1) 집단의 목적 및 내용 선정 251 2) 집단성원 모집과 선별 252 3) 집단의 구성 253
2. 초기단계 261
1) 오리엔테이션 262 2) 신뢰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265
3) 집단 참여 촉진 및 저항에 대한 대처 265 4) 집단에 대한 사정 266
3. 중간단계 272
1) 각 회기의 진행 273 2) 집단성원의 목표 달성 돕기 274
3) 저항에 대처하기 274 4) 집단과정에 대한 평가와 모니터링 276
4. 종결단계 277
1) 집단의 경험 검토, 변화를 유지하고 일반화하기 278 2) 미해결 과제 다루기 278
3) 집단 의존성 감소시키기 279 4) 종결에 따른 이별 감정 다루기 279
5) 집단 종결 이후에 대한 계획 세우기 279 6) 평가 280
5. 집단 실천 사례 280

CHAPTER 10 집단사회복지 실천기술 289
1. 집단 응집력 향상을 위한 기술 290
2. 집단과정 촉진 기술 291
1) 집단성원 참여 촉진 기술 292 2) 주의집중 기술 292 3) 표현기술 293
4) 초점유지기술 294 5) 집단과정의 명료화 기술 295 6) 내용의 명료화 기술 295
7) 집단 상호작용 지도 기술 296 8) 자기개방 기술 297 9) 피드백 300
3. 탐색에 필요한 기술 301
1) 질문기술 301 2) 언급기술 303
4. 행동 변화를 위한기술 304
1) 지지 기술 304 2) 재구조화 및 재정의 기술 305 3) 연결하기 기술 306
4) 지시하기 기술 307 5) 조언과 제안 308 6) 모델링·역할극·시연·코칭 310
7) 직면 기술 311 8) 자원 제공 기술 312 9) 갈등 해결 기술 312


Part4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

CHAPTER 11 가족의 이해와 실천 321

1.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 관점 322
1) 가족 구성원의 욕구 이해 322 2) 가족 회복 탄력성의 이해 324
3) 한국 가족의 변화 328
2.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이론 개관 330
1) 체계 이론 330 2) 모더니즘 기반 이론 : 1차 사이버네틱스 이론 334
3) 포스트모더니즘 기반 이론 : 2차 사이버네틱스 이론 339
3. 가족사정 342
1) 가족 사정의 내용 343 2) 가족 사정의 방법 352 3) 가계도를 활용한 가족 사정 354 4) 생태도를 활용한 가족 사정 359
4. 가족실천사례연습 360


CHAPTER 12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 : 다양한 가족과 일하기 373
1. 다양한 가족 이슈 검토 374
1) 빈곤 가족 374 2) 가정폭력 피해 가족 375 3) 한부모 가족 및 조손 가족 375
4) 확대 가족에서 세대 간 갈등 및 가족 하위 체계 간 갈등 376
5) 만성 질환 및 장애인 가족 377 6) 다문화 가족 378
2. 가족 대상 실천과정의 이해 378
1) 가족 개입 초기 378 2) 가족 개입 중기 382 3) 가족 개입 종결 383
3. 가족 대상 실천 기술 384
1) 환경적 개입 384 2) 가족 내부 변화 개입 385
4.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실제 393
Author
이경아,박정임,이근희,이종은,이금진,신나리,김미영
현재 수원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현재 수원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