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암 안정복 탄신 300주년을 맞아 출범한 ‘순암선생 탄신 300주년 기념사업회’에서 추진하여 발간하는 ‘순암연구총서’의 네 번째 책으로, 순암 안정복의 경학과 사회사상에 관련된 연구논문들을 모두 모았다. 또한 ‘경세가’ 안정복에 초점을 두고 그의 저술과 사회관을 깊이 있게 해독한 논문들을 수록함으로써 순암 연구의 기초가 되도록 재구성하였다. 나아가 사상가로서 순암의 여성관과 형법관, 향촌사회에 대한 인식, 토지론 등 삶의 실지에서 그가 판단하고 영위한 궤적들을 면밀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재구성했다.
Contents
간행사
제1부 경학성리학 분야
순암 안정복의 성리론 연구 | 최봉영
순암 안정복의 유교관과 경학사상 | 이봉규
순암 안정복의 사단칠정설―성호학파 내부 논쟁을 중심으로 | 안영상
도학과 실학 그 이분법의 극복―순암 안정복은 실학자인가 | 이동환
순암 안정복의 학문적 연원과 그 특징 | 김인규
순암 안정복의 학문적 지향과 『맹자의의』 | 함영대
순암 안정복의 주역 인식과 상수의리론 | 엄연석
제2부 사회사상 분야
순암 안정복의 향촌자위론 연구 | 반윤홍
안정복의 『대록지』| 김수태
순암 안정복의 사회사상― 민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한상권
안정복의 지방자치사상 | 김유혁
순암 안정복의 사창에 대한 연구 | 오환일
순암 안정복 향정론 | 김태영
순암 안정복의 토지론 | 최윤오
순암 안정복의 여성관 | 강명관
순암 안정복의 여성인식―18세기 여성 인식사의 한 보수적 얼굴 | 김보경
순암 안정복의 형법관과 향정론 | 원재린
18세기 지방자치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고찰―순암의 경기도 광주부 『이리동약』을 중심으로| 이명희
순암 안정복의 향정방략『임관정요』「시조」분석을 중심으로 | 원재린
18세기 향촌사회와 유교공동체―순암 안정복을 중심으로 | 김보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