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당의 사상은 크게 경학과 경세학으로 구분된다. 그의 경학은 우선 주자학적 관념론에서 현실적 경험론으로 넘어오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예를 들자면 천(天)에 대한 견해는 관념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천리(天理)라는 이해로부터 벗어나 다양한 개념을 제시한다. 현실에 대한 중시는 주자학에서 주장하는 왕도정치에 기본을 두는 것이지만, 인간의 욕망에 대해 부정하지 않고 그것을 자연스럽게 긍정하는 데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박세당의 실학의 맥락 속에는 실용적인 것을 존중하여 농업기술을 연구함은 물론 여러 제조기술을 통한 과학 중시와 실무 중시의 실천적 가치 존중에서 그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다.
Contents
차례
머리말
서론
박세당의 삶과 예술
제1부 박세당의 탈주자학적 실학사상
제1장 조선후기 실학의 특징
제2장 박세당의 실학사상
제3장 박세당의 노장철학의 수용
제4장 박세당 '신주도덕경' 주해의 특징
제5장 박세당의 유불회통적 불교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