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원

조선 후기 실학의 비조
$27.00
SKU
978897986817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08/31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79868173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철학적 방법론으로 개방성을 견지해 폭넓은 방면의 저술을 남긴
조선 후기 실학의 비조 유형원의 절충주의 시각을 엿볼 수 있는 역작


반계 사상에서 또 하나의 특징은 철학적 방법론에서의 개방성이다. 이 개방성이라는 것은 절충파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이다. 반계 당시에는, 리(理)와 기(氣)가 서로 섞일 수 없다는 점(이기불상잡)에 초점을 맞추어서 상대적으로 리(理)를 중시하는 퇴계학파와, 이와는 반대로 리와 기는 서로 떨어질 수 없다는 것(이기불상리)에 초점을 맞추어서 상대적으로 구체적 현실을 중시하는 율곡학파의 양대 학파가, 각각 남인과 노론이라는 당파의 주축을 이루고 있던 때였는데, 반계의 성리설은 양 학파를 절충하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져 보인다. 즉, 자연관에서는 이기불상리, 심성관에서는 이기불상잡의 입장을 견지하여, 사실과 가치의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는 데서 절충주의의 특색이 드러난다.

Contents
머리말
글을 시작하며

제1부 반계의 생애와 학문
제1장 반계의 삶의 발자취
1. 유년기 … 총명한 아이
2. 소년기 … 호란(胡亂)의 추억
3. 청년기 … 덕부(德夫)의 삶
4. 장년기 … 반계(磻溪)의 거사(居士)
제2장 반계의 학문과 덕행
1. 반계의 학문관
2. 주유산수(周遊山水)와 저술활동
3. 반계의 품성과 가치관

제2부 반계의 사상
제1장 반계의 철학 사상: 성리학적 견해
1. 이기론
2. 인성론
3. 반계 성리설의 특징: 실사(實事)의 중시
제2장 반계의 경세 사상: ??반계수록??
1. ??반계수록?? 저술의 목적과 내용
2. ??반계수록??에 대한 율곡의 영향

제3부 반계의 저술
시(詩)
산문(散文)
성리설(性理說)에 관한 글
『반계수록』에 관한 글

부록
Author
안재순
강원도 횡성 산골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내고, 성균관대학교 유학과와 같은 대학 대학원 동양철학과에서 공부했다(철학박사). 청주대에서 교수생활을 시작하고(1982~1983), 1984년 강원대로 옮겨 지금까지 한문교육과에서 經書와 諸子書를 가르치며 연구하고 있다. 도중에 중국 랴오닝 대학에서 한국문화를 1년간 가르치기도 했다. 현재(2009) 동양철학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다. '조선조유학사상의 탐구'(여강출판사, 1988), '한국사상가의 새로운 발견(2)'(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세종문화사대계4'(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현대인의 유교읽기'(아세아문화사, 2005) 등의 공저가 있고, '조선후기실학파의 사상적 계보', '율곡의 경세사상에 나타난 실학의 의미', '실학파의 현실인식과 대응양상', '실학의 인간관과 윤리적 특성', '조선후기 실학의 주체성 문제', '17세기 한국의 유학사상', '정조의 서학관', '홍재사상의 철학적 기반' 등 실학에 관련한 논문을 주로 써왔으며, 최근에는 ''조화와 균형'에 관한 유가적 해명','논어 해석법에 관한 서론적 고찰' 외에 유가경전에 대한 글을 다수 발표했다. 유가경전의 현대적 해석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강원도 횡성 산골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내고, 성균관대학교 유학과와 같은 대학 대학원 동양철학과에서 공부했다(철학박사). 청주대에서 교수생활을 시작하고(1982~1983), 1984년 강원대로 옮겨 지금까지 한문교육과에서 經書와 諸子書를 가르치며 연구하고 있다. 도중에 중국 랴오닝 대학에서 한국문화를 1년간 가르치기도 했다. 현재(2009) 동양철학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다. '조선조유학사상의 탐구'(여강출판사, 1988), '한국사상가의 새로운 발견(2)'(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세종문화사대계4'(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현대인의 유교읽기'(아세아문화사, 2005) 등의 공저가 있고, '조선후기실학파의 사상적 계보', '율곡의 경세사상에 나타난 실학의 의미', '실학파의 현실인식과 대응양상', '실학의 인간관과 윤리적 특성', '조선후기 실학의 주체성 문제', '17세기 한국의 유학사상', '정조의 서학관', '홍재사상의 철학적 기반' 등 실학에 관련한 논문을 주로 써왔으며, 최근에는 ''조화와 균형'에 관한 유가적 해명','논어 해석법에 관한 서론적 고찰' 외에 유가경전에 대한 글을 다수 발표했다. 유가경전의 현대적 해석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