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유교 정치문화

$23.76
SKU
978897986742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8/02/28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79867428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이 책은 유교사상의 중심에서 정치는 어떻세 설명되고 그것이 우리 역사에서 어떻게 응용되었는가를 밝히는 글로 구성되어 있다. 유교 정치문화의 저변이 확립된 고려말에서 조선초의 지식사회 변화와 태조 이성계에서 세종대왕에 이르기까지 조선전기의 정치환경 속에서 나타난 유교 정치문화에 대해 먼저 살펴보고 후기 실학적 측면에 이르기까지 조선조 전반에 나타는 유교정치문화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또한 오늘날의 정치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요소를 과거 왕조시대의 정치문화에서 찾고자 하는 노력도 엿볼 수 있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조선조 유교정치의 사상적 배경

1장 공자의 덕치주의
1. '바름'의 정치이념
2. 정치의 방법론 - 덕

2장 맹자의 인정론
1. 인의의 정치
2. 백성 존중의 신념

3장 순자의 예치주의
1. 인위와 예의
2. 성왕 모델의 예치론

4장 유교의 공직관
1. 선비와 공직
2. 진퇴의 기준

제2부 조선 초기 군의의 정치사상

1장 여말선초 신유학파의 정치의식
1. 여말선초 신유학파의 정치의식
2. 서로 다른 국가의식과 진퇴의식
3. 변혁기 정치의식의 역사적 평가

2장 조선 초기 왕실의 유불의식
1. 왕조 교체기의 사상적 동향
2. 이태조의 유불의식
3. 정종과 태종의 유불의식
4. 왕실 유불의식의 특징

3장 조선조 태종의 정치이념
1. 유교적 통치이념
2. 왕권주의의 강화
3. 문무의 겸전의식

4장 세종대왕의 유교 정치이념
1. 유교 정치이념의 형성
2. 정치이념의 전개
3. 세종 정치의 이상경

제3부 조선조 유학자의 정치론

1장 조선조 전기 사림파의 정치의식
1. 사림파 형성과 점필재
2. 사화기의 유교 실천
3. 조정암의 지치주의

2장 이회재의 성현정치론
1. 정치 행적과 논저
2. 성군현상의 지도자론
3. 국가 운영의 행정론

3장 이퇴계의 성군정치론
1. 정치 참여
2. 성군주의적 치도론
3. 치도 정립의 요건

4장 이율곡의 경장정치론
1. 정치 논저
2. 정치론의 구성 요소
3. 경장론과 비판정신

5장 율곡과 다산의 정치철학적 만남
1. 정치철학 구도의 동질성
2. 실천주의의 정치철학
3. 민생 위주의 개혁정신

<>b제4부 유교 정치문화와 현대

1장 조선조 반부패 정치문화와 현대
1. 반부패 정치문화의 기조
2. 반부패 관련법의 실제
3. 부패 국복의 원리
4. 반부패 정치문화의 현대적 수용

2장 현대 유자의 바른 길?시중(時中)
1. 시중時中이란 무엇인가?
2. 시중 행위의 기반 확충
3. 시중 행위의 실제

찾아보기
Author
조남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