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유교사상의 중심에서 정치는 어떻세 설명되고 그것이 우리 역사에서 어떻게 응용되었는가를 밝히는 글로 구성되어 있다. 유교 정치문화의 저변이 확립된 고려말에서 조선초의 지식사회 변화와 태조 이성계에서 세종대왕에 이르기까지 조선전기의 정치환경 속에서 나타난 유교 정치문화에 대해 먼저 살펴보고 후기 실학적 측면에 이르기까지 조선조 전반에 나타는 유교정치문화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또한 오늘날의 정치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요소를 과거 왕조시대의 정치문화에서 찾고자 하는 노력도 엿볼 수 있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조선조 유교정치의 사상적 배경
1장 공자의 덕치주의
1. '바름'의 정치이념
2. 정치의 방법론 - 덕
2장 맹자의 인정론
1. 인의의 정치
2. 백성 존중의 신념
3장 순자의 예치주의
1. 인위와 예의
2. 성왕 모델의 예치론
4장 유교의 공직관
1. 선비와 공직
2. 진퇴의 기준
제2부 조선 초기 군의의 정치사상
1장 여말선초 신유학파의 정치의식
1. 여말선초 신유학파의 정치의식
2. 서로 다른 국가의식과 진퇴의식
3. 변혁기 정치의식의 역사적 평가
2장 조선 초기 왕실의 유불의식
1. 왕조 교체기의 사상적 동향
2. 이태조의 유불의식
3. 정종과 태종의 유불의식
4. 왕실 유불의식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