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공산당의 배신

1943~1973년 공산당들은 어떻게 노동계급을 배신했는가?
$21.60
SKU
978897966276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4/16 - Tue 04/2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1 - Tue 04/1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2/05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79662764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공산당들은 한때 러시아 등지에서 노동계급이 권력을 쟁취하도록 이끌었다. 공산당원의 압도 다수는 천대받고 착취받는 사람들의 대의에 진심으로 헌신하는 마음에서 입당한 노동자들이었다. 그들은 기존 질서의 수호자들에게 수시로 박해를 당했다.

그러나 제2차세계대전 이후 공산당들은 점점 더 전통적 사회민주주의 정당을 닮아 갔다. 서방에서는 기존 질서에 영합하려 했고, 동방에서는 집권당이 돼 혁명을 가로막고 탄압했으며, 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정부 참여에 눈이 멀어 노동계급을 배신하기 일쑤였다. 『서구 사회민주주의의 배신 1944~1985』을 쓴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이언 버철은 이 책에서 1943~1973년에 공산당들이 어떻게 노동계급을 배신했는지 살펴보고 오늘날 좌파가 얻어야 할 교훈을 제시한다.
Contents
감사의 말
한국어판 머리말
들어가며

1부 1943~1953년

1장 제2차세계대전
러시아 민족주의 | 프랑스 레지스탕스 | 그리스 | 유럽의 다른 공산당들 | 영국 | 식민지
2장 세력권 대분할
프랑스의 해방 | 이탈리아 | 그리스 | 독일 | 영국 | 동유럽 | 아시아 | 미국 | 혁명이 가능했을까?
3장 밀월 기간
프랑스 | 이탈리아 | 영국
4장 스탈린과 티토의 분열
인민민주주의 | 코민포름 | 티토와의 분열 | 동유럽에서 숙청 작업 | 서유럽의 티토주의 | 티토와 혁명가들
5장 아시아의 전쟁과 혁명
베트남 | 중국 | 한국전쟁
6장 서유럽: 다시 거리로
프랑스 | 이탈리아 | 세계노동조합연맹의 분열 | 그리스 | 영국 | 유럽의 다른 나라들 | 미국 | 평화운동

2부 1953~1963년

7장 스탈린 격하와 헝가리 혁명
소련의 위기 | 흐루쇼프의 부상 | 평화공존 | 스탈린 격하 | 냉전의 종식 | 동유럽의 위기 | 동베를린 봉기 | 1956년 폴란드 | 헝가리 | 헝가리 사태의 영향 | 중국 | 안정화
8장 제국주의와 민족주의
이집트 | 이라크 | 과테말라
9장 서방 공산당의 다중심주의
프랑스 | 이탈리아 | 덴마크 | 유럽의 다른 나라들
10장 서유럽의 공산당과 계급
프랑스 | 이탈리아 | 영국 | 벨기에 총파업 | 청년 | 여성 | 농민 | 이주 노동자 | 결론

3부 1963~1973년

11장 동쪽에서 떠오른 붉은 희망?
중소 분쟁 | 문화혁명 | 중국의 외교정책 | 국제 수준에서 마오쩌둥주의 | 동유럽의 위기 | 체코슬로바키아 | 체코슬로바키아 사태의 국제적 영향 | 1970년 폴란드 | 결론
12장 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
베트남 | 인도네시아 | 라틴아메리카 | 브라질 | 쿠바 | 쿠바의 외교정책 | 게릴라전 | 칠레 | 그 후 칠레에서 벌어진
13장 혁명, 서방에서 다시 의제에 오르다
프랑스 | 이탈리아 | 영국 | 아일랜드 | 스페인 | 핀란드 | 호주

4부 결론

14장 평가와 전망
15장 이론적 파산
16장 혁명적 대안
트로츠키주의의 위기 | 새로운 시작 | 동방의 혁명적 사상

연표
참고 문헌
후주
찾아보기
Author
이언 버철,김동욱
영국의 사회주의자이자 역사학자로 ‘런던 사회주의 역사가 그룹’의 회원이다. 런던의 미들섹스대학교 프랑스어학과 부교수였고, 역사 저널 《레볼루셔너리 히스토리》의 편집위원이었다. 한국에 소개된 저서는 《처음 만나는 혁명가들: 마르크스, 레닌, 룩셈부르크, 트로츠키, 그람시》(공저, 2015), 《혁명의 현실성: 20세기 후반 프랑스, 칠레, 포르투갈, 이란, 폴란드의 교훈》(공저, 2011)이 있고, 《전후 유럽 공산당의 역사》(가제)가 곧 출간될 예정이다. 그 밖에도 《프랑스: 투쟁은 계속된다France: The Struggle Goes on》(1968), 《스탈린주의에 맞선 사르트르Sartre Against Stalinism》(2004), 《토니 클리프: 시대를 대표한 마르크스주의자Tony Cliff: A Marxist for His Time》(2011) 등 많은 책을 썼고, 현재 여러 좌파 매체를 통해 활발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영국의 사회주의자이자 역사학자로 ‘런던 사회주의 역사가 그룹’의 회원이다. 런던의 미들섹스대학교 프랑스어학과 부교수였고, 역사 저널 《레볼루셔너리 히스토리》의 편집위원이었다. 한국에 소개된 저서는 《처음 만나는 혁명가들: 마르크스, 레닌, 룩셈부르크, 트로츠키, 그람시》(공저, 2015), 《혁명의 현실성: 20세기 후반 프랑스, 칠레, 포르투갈, 이란, 폴란드의 교훈》(공저, 2011)이 있고, 《전후 유럽 공산당의 역사》(가제)가 곧 출간될 예정이다. 그 밖에도 《프랑스: 투쟁은 계속된다France: The Struggle Goes on》(1968), 《스탈린주의에 맞선 사르트르Sartre Against Stalinism》(2004), 《토니 클리프: 시대를 대표한 마르크스주의자Tony Cliff: A Marxist for His Time》(2011) 등 많은 책을 썼고, 현재 여러 좌파 매체를 통해 활발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