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자본주의와 국가를 묻다

마르크스주의적 관점
$9.72
SKU
978897966135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5/02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79661354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세월호 이전과 이후가 정말로 달라지려면 답해야 할 질문들”

돈벌이를 위해 폐선 직전의 배를 증축해 과적을 일삼다 침몰한 세월호, 그 모든 불법을 눈감아 주거나 부추기고 생명을 구하는 데는 철저히 무능했던 국가, 화물칸에서 발견된 제주 해군기지행 철근 수백 톤, 세계 곳곳에서 매 순간 또 다른 세월호를 잉태하는 이 위험천만한 세상은 어디서 비롯했을까?

자본가 개인의 탐욕 때문일까? 그렇다면 그런 탐욕은 어디서 비롯했을까? 신자유주의 정책 때문일까? 그렇다면 신자유주의를 낳은 것은 무엇일까? 한국의 후진성 때문일까? 그렇다면 왜 선진국들에서도 대형 참사가 계속 일어날까?

이 책의 지은이는 대학생 시절, 세월호 유가족 초청 강연회를 열고 서명 캠페인과 대학생 집회를 조직하며 캠퍼스를 뛰어다닌 ‘세월호 세대’다. 지은이는 세월호 참사를 자본주의 체제와 연관 짓고 마르크스주의로 이를 분석한다. 이 참사에서 국가가 보인 철저한 무능과 관료주의도 단지 우연이나 음모가 아니라 자본주의 국가기구의 근본적인 계급적 성격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Contents
머리말

1부 그날을 돌아보다
2014년 4월 16일, 바다 위에 남은 건 참혹함뿐
제주 해군기지 물량 노리고 급히 들여온 배
제주 해군기지는 무엇을 위한 것인가?
국가: 준비된 무능, 무관심, 무책임
2부 박근혜 정권 하의 세월호 항의 운동 돌아보기
분노가 된 슬픔
진상 규명 운동
세월호 1000일: 박근혜는 진작 쫓겨나야 했다
기쁘다! 박근혜 파면
세월호 인용 안 한 헌법재판소
화물칸에서 나온 제주 해군기지 철근 수백 톤과 블랙박스
드러난 박근혜의 ‘세월호 7시간’
음모론을 어떻게 볼 것인가?
3부 ‘세월호 적폐’ 청산, 어디까지 왔나
세월호 참사 해결은 문재인 정부의 가장 큰 부채
세월호 유해 발견 은폐한 해양수산부
사회적 참사 특별법: 1기 특조위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세월호 판박이’ 스텔라데이지호 침몰
밀양 세종병원 화재,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영흥도 낚싯배 침몰 …
문재인 정부와 세월호 운동
4부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본 자본주의 국가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대형 참사
‘착한 자본주의’는 없다
늘 ‘가진 자’의 편이었던 국가
국가란 무엇인가?
자본주의의 붙박이장: 관료주의와 부패
미쳐 버린 세계: 반자본주의적 대안이 필요하다

맺으며: 세월호 이전과 이후가 정말로 달라지려면

부록
더 읽을거리와 참고 문헌
Author
김승주
대학생 시절, 세월호 유가족 초청 강연회를 열고 서명 캠페인 등을 벌이며 캠퍼스를 뛰어다닌 ‘세월호 세대’다. 학교 밖에서는 2015년 세월호대학생대표자연석회의, 2016년 세월호참사2주기대학생준비위원회(사무국), 2017~2018년 416대학생연대에서 활동하면서 대학생 집회를 조직했다. 대학을 졸업한 현재 4·16연대 운영위원이다.
2014년에 처음 발행한 뒤 여섯 차례 개정·증보한 노동자연대 학생그룹의 소책자 《세월호 참사, 무엇을 기억하고 무엇을 할 것인가: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을 공저했고, 2017년에는 소책자 《세월호 참사, 자본주의 그리고 국가: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을 썼다. 현재 <노동자 연대> 기자다
대학생 시절, 세월호 유가족 초청 강연회를 열고 서명 캠페인 등을 벌이며 캠퍼스를 뛰어다닌 ‘세월호 세대’다. 학교 밖에서는 2015년 세월호대학생대표자연석회의, 2016년 세월호참사2주기대학생준비위원회(사무국), 2017~2018년 416대학생연대에서 활동하면서 대학생 집회를 조직했다. 대학을 졸업한 현재 4·16연대 운영위원이다.
2014년에 처음 발행한 뒤 여섯 차례 개정·증보한 노동자연대 학생그룹의 소책자 《세월호 참사, 무엇을 기억하고 무엇을 할 것인가: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을 공저했고, 2017년에는 소책자 《세월호 참사, 자본주의 그리고 국가: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을 썼다. 현재 <노동자 연대> 기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