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ㆍ농촌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제대로 홍보하려면 이제 농업도 커뮤니케이션과 융합할 필요가 있다. 정치커뮤니케이션, 스포츠커뮤니케이션 등처럼 농업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시대가 된 것이다. 특히 국내 농축산물이 수입 농축산물과 본격적으로 경쟁해야 하는 시대가 되면서 농업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언론 등에서 농업ㆍ농촌이 소외되지 않도록 농업인을 비롯한 농업 관련 주체들이 농업 커뮤니케이션 마인드를 갖고 나서야 할 때다.
이 책은 우리 농축산물의 우수성과 농업ㆍ농촌의 중요성을 효율적으로 홍보ㆍ마케팅하는 방법을 농업과 커뮤니케이션의 융합으로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생산자인 농업인이 미디어 등을 통해 자신이 생산한 농축산물의 우수성과 농촌 에머니티 등을 진솔하게 홍보하고, 그 중요성을 국민에게 알리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농민들의 미디어 접근권이 확대될 수 있도록 농축산물자조금(自助金)을 포함한 농업ㆍ농촌 커뮤니케이션의 사례는 물론 보도자료 작성법 등 농촌의 다원적기능과 자신이 생산한 농축산물을 홍보ㆍ마케팅 할 수 있는 방법이 실려 있다.
Contents
제1장 커뮤니케이션 사회 도래
1.커뮤니케이션이란
2.커뮤니케이션의 힘
3.커뮤니케이션의 요소와 매스미디어의 등장
4.사회 곳곳에 확산한 커뮤니케이션
5.알기 쉬운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2장 농업·농촌의 이해와 유지 필요성
1.농업·농촌의 이해
2.농업·농촌 유지,왜 필요한가
제3장 언론과 언론산업에 대한 이해
1.신문산업의 역사
2.신문 및 정기간행물
3.신문산업의 현황
4.세계 신문산업의 대응전략
제4장 미디어에 영향을 주는 요인
1.언론차원의 뉴스 내용에 대한 영향요인 모델
2.미디어 내용(기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제5장 농업·농촌 관련 언론보도의 뉴스프레임 연구결과
1.농촌 다문화가족 보도의 뉴스 프레임
2.한미 자유무역협정 관련 농업보도의 프레임 연구
제6장 농업·농촌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
1.이슈해석에 대한 프레이밍 효과
2.기존 농업이슈 관련 뉴스 보도의 특징
3.농업 이슈 보도와 뉴스 프레임
4.농업 이슈 보도와 국민의 농업·농촌 현실 인식
5.농업·농촌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
제7장 농업·농촌 커뮤니케이션 사례, 어떤 것이 있나
1.농축산물 자조금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2.농촌사랑운동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3.농촌 어메니티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4.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5.농업인 교육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6.농사물 브랜드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7.지역농업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8.데이(day) 활용 커뮤니케이션
9.농축산물 마케팅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10.귀농·귀촌 커뮤니케이션
제8장 미디어를 활용한 농업·농촌 커뮤니케이션
1.대국민 홍보채널
2.미디어 퍼블리시티
3.미디어의 관심을 모으는 법
4.기사(記事)를 알자
5.보도자료
6.신문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7.방송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8.인터넷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9.영상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10.선거보도 커뮤니케이션
11.마음이 통하는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제9장 농업·농촌 커뮤니케이션의 방향
1.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2.언론 홍보 원칙
3.언론 홍보 방법
4.언론 인터뷰 요령
5.기자 간담회 기획 및 진행
6.소비자 참여형 홍보를
7.시후처방에서 사전예방 홍보를
8.소비자 트렌드와 농업 연계 커뮤니케이션을
9.언론 보도 후 상반된 효과에 주목을
10.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형성을
11.선택과 집중 커뮤니케이션을
12.언론 홍보 캘린더 작성 및 활용
제10장 미디어 융합이 농업·농촌 커뮤니케이션에 주는 시사점
1.문제 제기
2.융합의 개념
3.농업 환경변화의 동인
4.융합에 따른 변화
5.융합의 가치 창출
6.융합현상에 따른 산업구조와 대책
7.농업과 다른 산업과의 융합으로 시너지 효과 창출을
8.농업과 다른 산업과 융합의 과제
9.통합 뉴스룸이 농업분야에 주는 시사점
10.농민에게 미디어 접근권 확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