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에게 권하고 싶은 나의 글들

$37.80
SKU
978897940651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1/17
Pages/Weight/Size 152*225*35mm
ISBN 9788979406511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Contents
머리말 _ 내용 해설과 함께

1부
서양학자들의 견해와 함께 보는 주요 동 · 서양사상의 핵심 내용

1. 공자와 유교사상
1) 서문
2) 공자의 출생과 생애
3) 유교 철학의 특징
4) 성선설을 기초로 한 도덕적 개념
5) 국가와 사회
6)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

2. 맹자와 유교정신
1) 맹자의 생애와 왕도사상(王道思想)을 돌이켜 본다
2) 맹자의 성선설에 기초한 교육 · 정치이념(敎育 · 政治理念)
3) 민본주의(民本主義)를 바탕으로 한 혁명사상

3. 도교 - 노자 · 장자사상을 중심으로
1) 서문
2) 도교와 도가사상
3) 노자(老子) · 장자(莊子)를 중심으로 본 도교
4) 특징적인 장자(莊子)의 사상
5) 중국인들의 종교(宗敎)와 한국의 도교(道敎)

4. 석가모니와 불교
1) 불교 교의의 개관
(1) 서문
(2) 고통과 번뇌가 없는 삶을 추구
(3) 불타의 생애와 사문유관(四門遊觀)을 알아본다
(4) 출가로부터 득도(得道)까지
(5) 지속적인 교화(敎化) 활동과 죽음
2) 불교를 잘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들
(1) 힌두교(인도교)는 어떤 종교이며 불교와는 어떤 관계인가?
(2) 불교는 창조가 없는 종교인가?
(3) 업연(業緣)으로 이루어진 현상계
(4) 윤회사상(輪回思想)의 참뜻은 무엇인가?
(5) 뛰어난 발견인 인과응보와 열반(涅槃)의 또 다른 의미
(6) 힌두교의 계급을 타파한 평등사상
(7)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차이
(8) 불교의 전교(傳敎)

5. 예수와 예수의 가르침

6. 소크라테스의 도덕주의와 플라톤의 이상국가
1) 소크라테스는 도덕을 중요시했다
2) 플라톤의 이데아(Idea)론의 진정한 뜻
3) 당시 국가가 처한 비참한 상황
4) 상식을 초월하는 공죄반반(功罪半半)의 이상국가
5) 플라톤의 이상국가에 대한 비판의 소리

2부
시대에 따른 서양의 주요 역사관 - 역사학자 · 신학자 · 철학자의 역사 해석

1. 그리스 초기 역사관 및 순환사관의 내용과 비판

2. 로마시대의 대사가들과 도덕적 · 교훈적 역사관

3. 중세 기독교 사관과 새로운 역사관의 시작

4. 근세의 이성 · 자유 · 혁명이념을 기초로 한 진보적 역사관

5. 현대의 문제 · 위기 해결의 긍정적 역사관

6. 토인비의 주요 역사관 - 도쿄 대학교에서의 특강
1) 서문
2) 생애와 연구의 개관
3) 기독교적 역사관
(1) 일반적 역사관
(2) 기독교적 역사관
(3) 문명을 단위로 한 역사이론
4) 문명의 발생, 성장, 쇠퇴, 해체론 - 세계국가 · 세계교회
(1) 문명의 발생 및 성장론
(2) 문명의 붕괴 및 해체론
(3) 결어
5) 토인비의 도쿄 대학교에서의 특강

7. 에라스뮈스의 자유의지론, 루터의 노예의지론과 양자 간의 논쟁
1) 과연 인간에게는 자유의지가 있는가?
(1) 자유의지론의 개념
(2) 에라스뮈스의 스페인에서의 자유의지론 발표와 루터의 대응
(3) 성경에 입각한 에라스뮈스의 자유의지론과 이에 대한 루터의 주장
2) 루터와 가톨릭에 가까운 에라스뮈스의 자유의지의 신학적 근거와 사상
3) 루터의 노예의지론
4) 개신교의 핵심 신학 칭의론(稱義論, 의화론, Justitia)
(1) 칭의론의 개념과 구체적 내용
(2) 개신교 측의 주장 및 결어

3부
우리가 잘 모르는 서양의 중요한 역사와 정치

1. 세계 최고 명가문 중의 하나인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가의 영욕(榮辱)
1) 이 글을 쓰게 된 동기와 이승만 대통령의 영부인에 대한 오해
2) 오스트리아(신성로마제국) 합스부르크가가 국운이 가장 왕성했을 때
(1) 신성로마제국(오스트리아)은 과연 어떤 나라였나?
(2) 부르군트 상속녀(무남독녀)와의 결혼으로 부강한 나라 부르군트 합병
3) 오스트리아(신성로마제국) 막시밀리안 황제의 아들 필립이 스페인의 왕이 되다
4) 왜 오스트리아가 지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인가?
5) 나폴레옹의 합스부르크가 오스트리아 중심 신성로마제국(962-1806)의 폐지로 인한 오스트리아의 하강국면의 시작
6) 빈 회의
7) 보오전쟁(普墺戰爭, 프로이센 · 오스트리아 전쟁, Prussio-Austrian War, 1866)
8) 프랑스 나폴레옹(Napoleon Ⅲ)의 프로이센의 독일제국을 저지하기 위한 보불전쟁(普佛戰爭)
9) 프란츠 요셉 황제의 동생, 멕시코(Mexico) 황제 막시밀리안(Maximilian)의 처형
10) 별안간의 죽음들로 인한 합스부르크가 오스트리아의 급격한 몰락 과정
(1) 황후 엘리자베트(Kaiserin Elisabeth,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셉의 황후)의 암살
(2) 오스트리아 유일의 황태자 루돌프 합스부르크(Rudolf Habsburg)의 자살
11) 오홍제국 황제 위 계승자 페르디난트 부처의 피살과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 대전 발발 전의 상황
(2) 제1차 세계대전 발발 과정과 참전국

2. 유럽 역사상 두 번째로 위대한 칼 5세의 어머니 후아나의 국제정략결혼과 슬픈 사랑
1) 이 글을 쓰게 된 이유와 목적
2) 100년전쟁 후의 프랑스의 강력한 통일국가 형성과 스페인 · 신성로마제국(독 · 오 · 주위 지역)의 연대 구축
3) 신성로마제국 막시밀리안 황제의 아들 필립과 스페인 가톨릭왕의 딸 광녀(狂女) 후아나의 계보와 서글픈 사랑
4) 스페인과 신성로마제국 간의 2중 정략 결혼 성사
5) 남편 필립으로부터 격리된 후아나의 통절한 그리움과 필립의 외도로 인한 후아나의 절망 속의 삶 - 이에 대한 데카르트를 비롯한 명사들의 비판
6) 신성로마제국 대공(大公) 필립의 횡사와 우울과 비참 속에 빠진 후아나의 여생
7) 필립의 사망 후 절망에 빠진 후아나의 남편과 아버지에 대한 태도 및 고독 속의 죽음

3. 히틀러의 사상과 그 실천
1) 히틀러 연구의 동기 · 목적과 히틀러 사상의 핵심내용 및 실현
2) 역사학자 · 히틀러 연구가들의 히틀러에 대한 견해 및 비판

4. 독일 조차지 중국 청도와 교주만의 일본의 침탈
1) 서문
2) 비스마르크(Bismarck)의 제국주의정책과 대중국 정책
3) 독일의 중국 산동반도 점령의 배후와 과정
4) 독일외교의 과오와 영일동맹(英日同盟)이 일본에 끼친 영향
5) 러 · 일 우호관계가 러시아의 서구정책과 일본의 극동정책에 끼친 영향
6)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직전의 일본내각과 영국정부와의 관계
7) 일본의 중국에서의 야욕과 대독 선전포고
8) 결어

5. 수도원(修道院)과 기독교의 영향
1) 수도원이란 이상적 집단
2) 유럽인들의 생활에 끼친 기독교의 영향
3) 서양인들의 친절

6. 신성로마제국(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황제 칼 5세와 루터의 극한 대립
1) 루터의 생애와 사상
2) 루터와 교황 · 황제 간의 충돌 및 루터의 불굴의 주장
(1) 면죄부의 3각 관계와 루터가 대주교에게 보낸 편지 내용
(2) 합스부르크가 치하의 신성로마제국 황제 칼 5세의 루터에 대항하기 위한 애처로운 성명서 내용

7.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에 즈음한 대학살 사건
1) 전체 사건의 핵심 내용
2) 대학살 사건 이후의 변화

8. 프랑스 혁명의 교훈과 나폴레옹
1) 프랑스혁명의 개관
2) 신분차별과 재정파탄에서 비롯된 혁명
3) 혁명의 참상과 하층민의 생활개선
4) 혁명을 통해서 달라진 프랑스
5) 영웅 나폴레옹의 재조명과 혁명의 전파

4부
현 시대에 대한 역사학자로서의 의견 - 신문 · 잡지 게재 글모음

1. 독일어권 최고의 빈 대학교의 교육제도 - 우리나라 실험 대학 실시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1) 우리 학제와는 완연히 다른 교육제도
2) 무등록금 · 구두시험 · 세미나 중심의 교육제도
3) 서구 대학교육에 비추어 본 한국 대학교육
4) 대학생들의 학업욕구를 최대한 만족시켜 주는 제도

2. 의식개혁이 선진 지름길

3. 위인들의 가르침을 되새겨야

4. 김대중 대통령의 평양 남북 정상회담의 의미
1) 독일의 통일에 대한 공부
2) 사랑의 씨앗의 결실
3) 가까운 장래에 통일실현 가능?

5. 대학을 말한다
1) 자율적이고 개성 있는 인간
2) 정직하고 질서있는 대학생활

6. 베를린 반미 시위와 요즘 우리에게는

7. 서양의 예를 거울삼아 독도(獨島)를 지키자- 영일동맹과 일본의 독일 조차지 칭다오 강탈과 함께
1) 서문
2) 사적으로는 예의 바르지만, 국익 앞에 지극히 이기적인 일본인
3) 우방 독일의 조차지 칭다오를 강탈한 일본의 부도덕하고 의리를 저버린 행위
4) 유럽의 영토 분쟁을 거울삼아 독도(獨島)를 지키자

8. 모스크바의 비참한 모습에 당황
1) 서문
2) 사유재산 부정이 초래한 비참한 현실
3) 이념과 정치의 무상
4) 호텔이 거의 없는 모스크바
5) 발달한 항공기술과 낙후된 열차
6) 지나친 러시아 문화의 독자성

9. 러시아의 고난의 역사와 그 원인 · 개선책에 대하여
1) 앞서가는 서양의 민주주의와 뒤늦은 러시아의 농노해방
2) 볼셰비키혁명과 그 후의 정치발전
3) 소련 공산주의의 허점과 국민의 고통

10. 한반도에서의 국지전이 제3차 핵 세계대전으로 비화될 수 있다

11. 중국은 동북공정(東北工程)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

12. 제1차 세계대전 발발의 교훈과 북한의 미사일 발사

13. 세계 열강은 한반도 통일을 적극 추진해야

14.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서는 북 · 미간의 신뢰 · 양보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독일의 분단 통일을 거울삼아
1) 나의 미국인과의 첫 만남과 서양인들의 미국인에 대한 평가
2) 연구 중에 나타난 의아스런 미국의 모습
3) 미국에 의한 화폐개혁, 아데나워의 활약상, 독일의 분단
4) 분단 후 미국의 역할과 양 지역의 차별화
5) 유럽 제국(諸國)의 독일통일의 반대와 미국의 통일 지원
6) 북한은 핵을 포기하고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통해 신뢰를 회복해야

15. 전후 사회주의 성격과 동독의 위기
1) 동독 사회주의 실상과 다양한 문제점
2) 동독 정치구조의 구체적 결함은

16. 일본은 과거의 잘못을 깊이 반성하고 너그러워져야 한다- 일본의 독일 조차지 산동반도 강점과 함께

5부
유학시험 합격 후 출국, 기숙사 생활, 유럽 본토 여행, 살기 좋은 영국 · 런던, 하버드 대학의 특별한 모습, 낭만의 도시 빈, 세계 2대 석학 놀테 · 하버마스 교수

1. 출국과 첫 비행에서 맛본 공포의 순간들

2. 세계 각처에서 온 사람들로 이루어진 기숙사

3. 유럽 본토 여행과 연구
1) 터키 · 그리스 · 이탈리아 · 모나코 · 남프랑스
2) 스페인과 포르투갈[대 순례지 파티마(Fatima)]
3) 유럽의 최대 순례지 루르드와 예술의 도시 파리
4)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에서의 연구와 청강, 불어 연수

4. 세 차례에 걸친 베를린 대학 방문 및 라인강 · 고데스베르크의 추억
1) 제1, 2차 서베를린 방문
2) 냉전(冷戰)의 세계적 석학 놀테 교수와 사가논쟁(史家論爭)
3) 라인(Rhein) 강과 독일의 수도 본(Bonn)의 낭만과 추억
4) 무료 특급열차를 이용한 독일에서의 연구 여행

5. 세상에서 제일 살기 좋다는 런던과 영국
1) 런던에서의 영어 연수와 명소 방문
2) 런던 밖 영국의 명소와 대도시 방문(에딘버러 축제와 함께)

6. 미국에서의 연구생활과 세계 최고 하버드 대학의 특별한 모습들
1) 미국 대학들의 방문과 그곳 교수들과의 토론
2) 유럽 대학에 비해 하버드 대학의 특별한 모습들
(1) 하버드 대학의 우수한 점과 나의 강의 듣기와 영어 공부
(2) 하버드 대학의 강의와 학생들의 청강 자세
(3) 하버드 대학 도서관에서의 연구와 10만 쪽 복사
(4) 하버드 대학 체재 중 특별히 인상 깊었던 일들

7. 참으로 살기 좋은 빈의 낭만과 독일의 두 석학 교수 특강
1) 아름다운 빈(Wien)의 낭만
2) 냉전의 세계적 석학 독일 놀테(E.Nolte) 교수와 지구상의 최고 사상가 하버마스(J. Habermas)의 특강 통역과 토론
(1) 독일 석학 교수들과의 교제
(2) 베를린 자유 대학의 냉전의 세계 최고 석학 교수와의 교제
(3) 지상 최고 사상가라 칭하는 하버마스의 서울대 특강과 교수 대표로 나와의 단독 토론

에필로그

1. 학창시절
2. 초 · 중 · 고 시절의 성적
3. 어려운 유학시험 준비와 합격
4. 약혼 · 출국 · 결혼 · 귀국 · 특채 1호
5. 지산 이규하 교수 「서양 연구 · 견문록 비」
사진자료
Author
이규하
현재 전북대학교 명예교수(2004년 정년퇴임).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졸업(1964), 오스트리아 빈 대학교 철학박사(Ph.D., 서양학 전공) 학위 취득(1964~1971), 독일 뮌헨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1년 수료(1977~1978), 독일 현대사연구소, 베를린 자유대학교, 본 대학교,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연구원 역임, 하버드 대학교 연구교수 역임, 전북사학회장 역임, 전북대학교 인문학 연구소장 역임, 교육부 세계지역연구소 심사·평가위원 역임, 한국 서양사학회 학술·정보이사 역임, 부산사학회 학술이사 역임. 저서, 역서로『서양사회분석』(1975), 『서양사의 심층적 이해』(2004), 『새로운 삶』(2005), 『서양 견문 연구록: 지산 이규하 박사의 저작과 생애』(2012), 『새천년을 향한 가톨릭 지성의 좌표』(공저, 2000), 『서양사신론 I·II』(공역, 1979), 『봉건주의에서 자유주의에로 전환』(공역, 1981)이 있다.
현재 전북대학교 명예교수(2004년 정년퇴임).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졸업(1964), 오스트리아 빈 대학교 철학박사(Ph.D., 서양학 전공) 학위 취득(1964~1971), 독일 뮌헨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1년 수료(1977~1978), 독일 현대사연구소, 베를린 자유대학교, 본 대학교,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연구원 역임, 하버드 대학교 연구교수 역임, 전북사학회장 역임, 전북대학교 인문학 연구소장 역임, 교육부 세계지역연구소 심사·평가위원 역임, 한국 서양사학회 학술·정보이사 역임, 부산사학회 학술이사 역임. 저서, 역서로『서양사회분석』(1975), 『서양사의 심층적 이해』(2004), 『새로운 삶』(2005), 『서양 견문 연구록: 지산 이규하 박사의 저작과 생애』(2012), 『새천년을 향한 가톨릭 지성의 좌표』(공저, 2000), 『서양사신론 I·II』(공역, 1979), 『봉건주의에서 자유주의에로 전환』(공역, 1981)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