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거의 정치신학

$19.44
SKU
978897868973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8/20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78689731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Contents
서문 / 3

1. 서론: 누가 하이데거인가? / 15
하이데거의 삶과 사상 15
기초존재론으로서 현존재 분석 22
전회와 하이데거의 후기사상 29

2. 하이데거, 총장이 되다! / 33
하이데거의 총장 취임연설: 「독일대학의 자기 주장」 33
‘하이데거와 나치즘’ 논쟁 35
하이데거는 나치주의자인가? 41
하이데거의 ‘시원’-물음: 독일 민족의 정신적 근원 47

3.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은? / 61
독일 정신의 원천에 대한 연구 61
에른스트 윙거의 ‘노동자’ 및 ‘총동원’ 개념 70
1914년의 독일 보수주의 이념 77
하이데거의 총장 취임연설에 나타난 정치신학적 함의 82

4. 하이데거의 정치신학 / 87
정치신학으로서 민족사회주의 87
‘하이데거 물음’과 그 진실 88
언제나 또 다시, “하이데거는 나치주의자인가?”라는 물음 94
하이데거의 민족사회주의 - 주장과 반박 103

5. 하이데거는 나치에 부역했는가? / 109
총장 선출 전후, 나치와의 협력관계 109
하이데거의 동료 고발사건 115
총장 사임 이후 나치와의 협력관계 118
하이데거의 민족사회주의적 정치신학 122
하이데거를 범죄화해서는 안 된다는 지젝의 언설 126

6. 하이데거는 인종주의자인가 / 129
하이데거, 그리고 인종주의와 반유대주의의 문제 129
하이데거는 반유대주의자인가? 130
인종주의에 대한 하이데거의 태도 135
반유대주의에 대한 하이데거의 태도 147

7. 하이데거의 브레멘 강의 / 159
하이데거의 기술 비판 159
‘자동화 영농’과 ‘시체 공장’ 162
하이데거의 정치신학적 ‘현사실성’ 177

8. 히틀러를 매료시킨 철학자들 / 191
이본 셰라트의 책, ‘히틀러의 철학자들’ 191
‘하늘의 뜻’, 그리고 란츠베르크의 성찰 194
독일철학자들의 반유대주의와 히틀러 200
히틀러와 나치철학자들의 인종주의 206

9. 나치정권의 부역 철학자들 / 217
유대인 문제, 아시아 정신을 제거하라! 217
히틀러의 대리인, 로젠베르크 219
히틀러의 예언자, 보임러 222
히틀러를 위한 대학총장, 크리크 224
하이데거, 은사 에트문트 후설을 배신하다 226
독일 대학가의 인종 청소 228
꽃방석에 앉은 히틀러의 부역 철학자들 235

10. 하이데거, ‘히틀러의 슈퍼맨’인가 / 243
3,125,894번째 나치당원, 국가철학자 하이데거 243
‘혈통과 흙’을 사랑한 총장 철학자, 하이데거 249
‘유대인 문제’의 해결사로 전락한 하이데거 251
반유대주의 철학자 하이데거의 숨은 얼굴 255
진정한 국가사회주의자이기를 열망하다 260

11.남겨놓은 물음: ‘다른 하이데거’는 존재하는가? / 267

참고문헌 / 279
색인 / 291
Author
김진
독일 루어대학(Bochum)에서 리하르트 셰플러 교수의 지도를 받아 “칸트의 요청이론”으로 철학박사학위(1988)를 취득하고, 1989년부터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로 재임 중이다. 한국칸트학회 회장과 대한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단장(2014~2016)으로 재직하는 동안 인문법 시행, 인문학 예산 증액, 한중인문학포럼 및 세계인문학포럼의 정상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으며, 교육부총리표창(2016), 울산대학교 ‘올해의 교수상’(2012), 울산광역시 문화상 학술부문(2000) 등을 수상하였다. 주요저서로는 『칸트의 요청이론Kants Postulatenlehre』(1988), 『철학의 현실문제들』(1994), 『역사철학』(1997), 『아펠과 철학의 변형』(1998), 『퓌지스와 존재사유』(2003), 『칸트와 불교』(2004), 『하느님의 길』(2005), 『에른스트 블로흐와 희망의 원리』(2006), 『처용설화의 해석학』(2007), 『종교란 무엇인가』(2008), 『현대철학자들』, 『하느님의 나라와 부처님의 나라』(2009), 『다석 류영모의 종교사상』(2012), 『콜버그의 도덕발달』,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읽기』(2013), 『아산연구총서』, 『인생교과서 칸트』(2015) 등이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형이상학과 종교철학이며, 지금은 정치신학 및 희망철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철학과 및 심리상담학전공에서 ‘형이상학’, ‘실존심리학’, ‘심리사상사’, ‘정신분석과 종교’, ‘로고테라피’ 등을 가르치고 있다.
독일 루어대학(Bochum)에서 리하르트 셰플러 교수의 지도를 받아 “칸트의 요청이론”으로 철학박사학위(1988)를 취득하고, 1989년부터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로 재임 중이다. 한국칸트학회 회장과 대한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단장(2014~2016)으로 재직하는 동안 인문법 시행, 인문학 예산 증액, 한중인문학포럼 및 세계인문학포럼의 정상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으며, 교육부총리표창(2016), 울산대학교 ‘올해의 교수상’(2012), 울산광역시 문화상 학술부문(2000) 등을 수상하였다. 주요저서로는 『칸트의 요청이론Kants Postulatenlehre』(1988), 『철학의 현실문제들』(1994), 『역사철학』(1997), 『아펠과 철학의 변형』(1998), 『퓌지스와 존재사유』(2003), 『칸트와 불교』(2004), 『하느님의 길』(2005), 『에른스트 블로흐와 희망의 원리』(2006), 『처용설화의 해석학』(2007), 『종교란 무엇인가』(2008), 『현대철학자들』, 『하느님의 나라와 부처님의 나라』(2009), 『다석 류영모의 종교사상』(2012), 『콜버그의 도덕발달』,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읽기』(2013), 『아산연구총서』, 『인생교과서 칸트』(2015) 등이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형이상학과 종교철학이며, 지금은 정치신학 및 희망철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철학과 및 심리상담학전공에서 ‘형이상학’, ‘실존심리학’, ‘심리사상사’, ‘정신분석과 종교’, ‘로고테라피’ 등을 가르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