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지리학, 만주라는 경계

$23.76
SKU
978897801260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Tue 05/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4/25 - Tue 04/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0/01/12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78012607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한국문학연구소에서 개최한 학술회, '근대의 문화지리 - 동아시아 속의 만주/만슈'에서 발표된 원고와 최근 만주를 대상으로 발표된 중요 연구를 모아 발간한 책이다. 만주는 일본제국이 중국대륙을 침략하기 위해 중요하게 생각한 지역이었다. 일제강점하에 살고 있던 조선사람들에게 만주는 자유의 땅이자 기회의 땅이었다. 동시에 독립운동을 위한 거점이기도 했다. 이 책에서는 근대 미디어를 통해 인식되고 표상된 만주의 문화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 다수 수록되었다. 뿐만 아니라 한국과 일본의 근대 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만주 인식과 표상에 대해 고찰한 논문도 함께 실렸다.
Contents
제1부 만주의 근대와 문화
조현설(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민족과 제국의 동거
임성모(연세대학교 사학과) - 팽창하는 경계와 제국의 시선
김려실(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조선영화의 만주국 유입에 관한 연구
허설희(臺灣中央硏究院臺灣史硏究所) - 만주 경험과 백색테러
강태웅(광운대학교 일본학과) - 만주국 극영화의 제상(諸相)
노동은(중앙대학교 음악예술학부) - 滿洲音樂硏究1
서재길(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제국’의 전파 네트워크와 만주의 라디오 방송

제2부 근대문학의 만주 표상
이경훈(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식민지와 관광지
와타나베 나오키(일본 무사시 대학교 일본 동아시아 비교문화학과)
- 식민지 조선의 프롤레타리아 농민문학과 「만주」‘협화’의 서사와‘재발명된 농본주의’
정종현(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사업단) - 근대문학에 나타난‘만주’표상
장영우(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만주기행문 연구
오태영(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朝鮮’로컬리티와 (탈)식민 상상력
신승모(한국외대 일본어과) - 식민지기 일본어문학에 나타난‘만주’조선인상
Author
조현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 고전문학과 구비문학을 전공했고, 동아시아 건국신화 비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구비문학을 비롯하여 동아시아 신화·서사시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이야기를 재미있게 잘했던 고모부 덕분에 이야기에 쏙 빠져 사는 아이가 되었고, 어른이 되어서는 옛날이야기 연구를 아예 직업으로 삼게 되었다. 시를 좋아해서 가끔 시도 쓴다. 저서로 『동아시아 건국 신화의 역사와 논리』(문학과지성사, 2003). 『문신의 역사』(살림, 2003),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한겨레출판, 2006), 『마고할미 신화 연구』(민속원, 2013)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 고전문학과 구비문학을 전공했고, 동아시아 건국신화 비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구비문학을 비롯하여 동아시아 신화·서사시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이야기를 재미있게 잘했던 고모부 덕분에 이야기에 쏙 빠져 사는 아이가 되었고, 어른이 되어서는 옛날이야기 연구를 아예 직업으로 삼게 되었다. 시를 좋아해서 가끔 시도 쓴다. 저서로 『동아시아 건국 신화의 역사와 논리』(문학과지성사, 2003). 『문신의 역사』(살림, 2003),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한겨레출판, 2006), 『마고할미 신화 연구』(민속원, 2013) 등이 있다.